지난해 국내 읍·면·동 경계를 넘는 거주지 이동이 1972년 이후 가장 뜸했다. 고령화와 저성장 추세, 9·13 부동산 대책 등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서울 인구는 30년째 순유출을 이어갔지만 수도권 인구 유입 규모는 점점 커지고 있다.
통계청이 29일 발표한 ‘2019년 국내인구이동통계’를 보면 작년 인구이동자 수는 전년보다 19만3000명(2.6%) 감소한 710만4000명이었다.
인구이동률(인구 100명당 이동자 수)은 13.8%로 전년보다 0.4%포인트 하락, 1972년(11.0%) 이후 47년 만에 가장 낮았다. 1990년대 20%대를 웃돌던 인구이동률은 2000년대 중반 이후 뚜렷한 하락세를 나타내고 있다.
김진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이동 성향이 높은 연령대인 20~30대 인구는 감소하는 추세인 반면 이동 성향이 낮은 60대 인구는 늘어나는 추세고, 경제성장률이 둔화해 인구이동률이 낮아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면서 “전년에 비해서는 9·13 대책 등의 영향으로 주택매매가 감소해 이동자수가 줄었다”고 말했다.
지난해 인구이동을 사유별로 보면 주택(38.8%), 가족(23.8%), 직업(21.6%) 등의 순이었다.
시도별 전입률을 보면 세종(25.3%)이 가장 높았다. 이어 광주(15.0%), 서울(14.9%), 경기(14.9%) 순이었다. 전출률은 세종(18.0%), 대전(15.5%), 서울(15.4%) 등이 높았다. 전입이 전출보다 많아 순유입이 발생한 시도는 경기(13만5000명), 세종(2만4000명), 제주(3000명), 충북(3000명), 강원(2000명) 등 5곳이다.
순유출이 발생한 시도는 서울(-5만명), 대구(-2만4000명), 부산(-2만3000명) 등 12개 시도였다. 서울은 10∼20대 이외 모든 연령층에서 순유출을 기록했다. 서울의 인구 순유출은 1990년부터 30년간 단 한해도 빠지지 않고 계속되고 있다. 서울 전입자의 50.9%는 경기에서 들어왔고 서울 전출자의 63.6%는 경기로 나갔다.
권역별로 보면 수도권은 8만3000명이 순유입됐다. 공공기관 지방 이전 요인이 줄어들며 2017년(1만6000명) 순유입으로 전환한 뒤, 2018년(6만명)에 이어 순유입 규모가 더 커졌다.
김남중 기자 n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