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국내 이동 인구가 47년 만에 가장 낮았다. 고령화에다 저성장이 겹치면서 과거보다 이동이 뜸해진 것이다. 정부의 부동산 규제도 주택매매를 위축시키면서 인구 이동 감소에 영향을 줬다.
통계청은 29일 ‘2019년 국내인구이동통계 결과’를 통해 지난해 국내 인구 이동자가 710만4000명이라고 밝혔다. 인구 100명당 이동자를 뜻하는 ‘인구이동률’은 13.8%였다. 이 수치는 1972년(11.0%)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국내 인구 이동은 읍·면·동 경계를 넘는 거주지 이동을 말한다.
인구 이동이 적어진 배경에는 고령화가 있다. 이동 성향이 강한 청년층이 줄고, 이동 성향이 약한 고령층이 늘고 있기 때문이다. 연령대별 이동률을 보면 20대(23.1%)와 30대(21.0%)가 가장 높았다. 반면 60대는 8.7%, 70대 6.6%, 80세 이상은 7.6%에 그쳤다.
정부의 부동산대책도 원인으로 꼽힌다. 9.13 대책 등 규제에 따른 부동산시장 위축이 인구 이동 감소에 영향을 준 것이다. 우선, 이사 인구가 줄었다. 지난해 신규 입주예정 아파트는 전년보다 11.6%(5만3000건) 감소했으며, 주택매매 거래량은 1년 전보다 6.0%(5만1000건) 줄었다. 김진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2018년 정부가 내놓은 9·13 부동산대책의 영향으로 주택매매 거래량이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시·도별 전입률은 세종(25.3%), 광주(15.0%), 서울·경기(14.9%) 순으로 높았다. 전출률은 세종(18.0%), 대전(15.5%), 서울(15.4%) 순으로 나타났다. 전입자가 전출자보다 많아 순유입이 발생한 시·도는 경기(13만5000명), 세종(2만4000명), 제주·충북(3000명) 등 5곳이었다.
반면 전입자보다 전출자가 많아 순유출이 발생한 시·도는 서울(-5만명), 대구(-2만4000명), 부산(-2만3000명) 등 12곳이다. 서울은 순유출 규모가 2018년(11만명)보다 줄었지만, 1990년부터 30년째 한 해도 거르지 않고 ‘탈(脫)서울’ 현상을 보였다.
세종=전슬기 기자 sgj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