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위 “반발”, 의성 “존중”, 대구는 “글쎄요?”

입력 2020-01-29 14:38
지난해 11월 12일 국방부에서 열린 대구 군공항 이전부지 선정위원회 회의를 마치고 정경두 국방부장관(가운데)이 권영진 대구시장(왼쪽 첫번째), 김주수 의성군수(왼쪽 두번째), 이철우 경북지사(오른쪽 첫번째), 김영만 군위군수(오른쪽 두번째)와 손을 잡은 채 기념촬영하고 있다. 경북도 제공

국방부가 29일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이전지를 의성 비안·군위 소보 공동후보지로 사실상 결정했다고 밝히자 군위군은 강하게 반발했다.

군위군 공항추진단 관계자는 “단독후보지인 군위 우보에 유치 신청한 우리 군과 조율이나 협의가 없는 상태에서 국방부가 일방적으로 입장을 낸 것”이라며 “아직 결정된 것은 아무 것도 없다”고 주장했다.

군위군 통합신공항추진위원회 측도 국방부의 결정에 즉각 반발했다.
김화섭 공동위원장은 “국방부의 방침은 법은 물론 군민 의사까지 뒤엎겠다는 뜻”이라며 “굳이 공동후보지로 밀어 붙인다면 아예 군위에는 공항을 유치하지 못하도록 적극 투쟁하겠다”고 말했다.

추진위 측은 이날 오전 경북도청을 방문해 이철우 경북지사에게 이 같은 내용의 입장문을 전달했다. 이들은 “의성군민만 경북도민이고 군위군민은 도민이 아니냐? 편들기 그만하라”면서 “국방부에서도 유치 신청권은 해당 지자체에 있음을 분명히 했다”고 주장했다.

김영만 군위군수는 “선정위원회가 공동후보지를 심의할 근거가 없어 법적으로 불가능한 일”이라면서도 “국방부가 군 공항 이전 특별법에 대해 합리적으로 해석해 납득할만하다고 판단되면 따르겠다”면서 “만약 그렇게 될 경우, 군민들을 설득하겠다”고 말했다.

반면 우보 유치에 반대한 시민단체 측은 국방부 결정에 환영하는 눈치다.
이정식 우보공항반대 대책위원장은 “신공항이 대구경북뿐만 아니라 한국의 대표공항으로 크기 위해선 중부권까지 포괄할 수 있는 소보·비안에 유치돼야한다”고 말했다.
지난 투표 당시 소보 반대율이 높았던 결과와 관련해선 “군에서 대놓고 우보를 홍보하고 소보를 멀리했던 만큼 정확한 민의라 보기 어렵다”고 주장했다.
소보면 관계자는 “특별한 분위기가 있는 것은 아니다”라고 했으며 우보면 관계자도 “주민들 생각이 둘로 나눠져 있지만 아직까지 별다른 움직임은 없다”고 말했다.

의성군은 “국방부 방침에 전적으로 공감하며 존중한다”는 입장이다.
김주수 의성군수는 “국방부의 입장을 존중하며 대구·경북과 의성·군위의 상생발전을 위한 과정이라 생각한다”며 “군은 향후 절차가 순조롭게 진행되기를 바라며 이를 통해 의성·군위 뿐만 아니라 대구·경북 모두 크게 도약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김 군수는 또 “향후 정부에서 추진하는 절차에 충실하게 따르고 협조하겠다”고 덧붙였다.

최태림 의성군통합신공항유치위원회 공동위원장은 “앞으로도 공항 이전사업이 순조롭게 추진될 수 있도록 협력하겠다”며 “통합신공항 이전으로 의성의 인구유입은 물론 지역 경제에도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하며 그간의 노력이 대구·경북의 상생발전이라는 큰 결실을 가져다 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대구시는 이날 국방부 발표와 관련해 특별한 입장을 밝히지는 않았다.
다만 대구시 안팎에서는 국방부 발표가 성급한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관련 지자체끼리 의견을 모으기 위해 논의할 시간이 필요한데 국방부의 의견을 너무 일찍 밝혔다는 것이다.

국방부는 이날 입장문을 내고 “군위군수의 유치신청은 이전부지 선정기준 및 주민투표 결과에 따라 이뤄져야 하는 절차적인 행정행위로 6만여명의 군위·의성군민이 참여한 주민투표 결과는 존중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방부는 또 “법률 및 지역사회의 합의에 따라 정당하게 수립된 선정기준 및 절차와 그에 따른 주민투표 결과를 반영해 향후 이전부지 선정위원회에서 의성 비안·군위 소보를 이전부지로 선정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충실히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군위 의성 대구=김재산 최일영 기자 jskim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