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선박기자재 기업들이 친환경 선박기자재 국산화로 재도약 기틀을 마련할 전망이다.
부산시는 전국 최초로 액화천연가스(LNG) 연료 선박 실증을 위한 ‘다목적 해상 실증 플랫폼 구축사업’을 추진한다고 29일 밝혔다.
총사업비는 385억원(국비 212억5000만원, 시비 118억5000만원, 민자 54억원) 규모로, 올해부터 2024년까지 5년간 진행한다.
이 사업은 조선기자재를 개발하고도 사용실적(Track Record)이 없어 국내외 조선소에 납품하지 못하는 등 해외 기자재에 밀려 시장진입에 실패하는 기업이 늘어나자 부산시와 산업부가 사용실적 확보를 위해 추진하는 친환경 선박기자재 국산화 방안이다.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이 주관하며 선박기자재 기업과 함께 LNG 연료 선박 실증사업을 추진한다. 최근 일반 선박의 국산화율은 90%대에 육박했지만, 친환경 선박기자재 국산화율은 60%에 불과해 시장성이 높다. 특히 이번 달부터 전 세계 해역에 국제해사기구 황산화물 규제(IMO Sulphur 2020)가 발효함에 따라 LNG 연료추진 선박기자재 시장은 더 커질 전망이다.
올해는 국비 30억 원의 사업비를 확보해 기본설계 및 실증 선박 건조를 위한 조선소 입찰을 진행할 예정이다.
국내 조선 3사는 지난해 발주된 대형 LNG 운반선 63척 중 51척을 수주하면서 세계 LNG 선박 시장을 완전히 장악했다. 부산은 조선기자재 기업이 전국 대비 34%가 집중하고 있는 만큼 이번 LNG 연료 선박 실증사업이 본격 추진되면 조선기자재 기업에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것으로 보인다.
시는 오는 2025년 다목적 해상 실증 플랫폼 구축사업을 마무리하면 조선기자재업체는 연간 1860억원의 매출 증대와 4371억원의 생산유발효과, 1228명의 고용 유발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기대했다.
부산시 관계자는 “최근 통계청 발표자료에서 부산 조선·해양산업은 사업체 수 및 종사자 수, 부가가치 등이 모두 증가추세를 보인다”라며 “이번 사업을 조속히 추진해 조선기자재업체의 재도약과 새로운 일자리 창출로 지역 경제 활성화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