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학 연기 안 한다… 정부 “지역사회 내 감염 아직 없어”

입력 2020-01-28 18:16 수정 2020-01-28 18:32
정세균 국무총리가 28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대응 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며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대응과 관련해 학교 개학을 연기하는 방안은 시행하지 않기로 했다.

국무총리실은 28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정세균 국무총리 주재로 관계부처 회의를 개최해 대응상황 및 조치계획을 점검하고 이같이 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서는 지역사회 전파 가능성에 대한 학부모의 우려를 감안해 각급 학교의 개학을 연기하는 방안도 논의됐지만, 현재 지역사회 내 감염이 발생하지 않았고 범정부적 방역체계를 강화하고 있는 상황임을 감안해 정상적인 학교운영을 하기로 결정했다.

정부는 유입 차단을 위해 최근 14일 이내 우한 지역에서 입국한 사람들에 대해 전수조사를 실시하기로 했다. 가벼운 증상만 있는 경우도 함께 검사하고, 발열이나 호흡기 증상이 확인되면 국가 지정 입원치료병상에 이송해 격리·검사 하기로 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앞서 잠복기(14일)를 감안해 지난 14∼23일 우한 입국자에 대한 전수조사를 지시했고, 정부는 이날부터 대상자 3023명을 추려 전수조사에 들어갔다.

아울러 정부는 우한 현지에 발이 묶인 교민들을 귀국시키기 위해 30일과 31일 우한에 전세기를 띄우는 방안을 두고 중국 당국과 협의중이다. 정부가 파악한 귀국 희망 수요는 700여명이다. 정부는 금주 중 가급적 빠른 시기에 전세기를 보내는 등 적극적 조치를 취한다는 방침이지만 중국 당국과의 협의 결과에 따라 전세기 투입 날짜가 조정될 가능성도 있다.

정 총리는 이날 회의 모두발언에서 “우한에 체류하는 국민 중 귀국을 희망하는 분들을 위해 1월 30일과 31일 양일간 전세기를 보내는 등 적극적인 조치를 취하겠다”며 “정부는 국민의 안전을 최우선에 두고 선제적 조치를 이어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는 사스(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와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를 겪으면서 감염병을 막아낼 수 있는 튼튼한 제도를 구축했다. 병원 내 감염을 막기 위해 선별 진료 절차를 마련했고, 감염병 확산에 대비해 격리 병상과 음압 병실 대폭 확대했다”면서 “이런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고 실수나 부주의로 무너지지 않도록 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정 총리는 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산 우려가 커지면서 국내에서 사망자가 발생했다는 등의 가짜뉴스가 기승을 부린다”고 지적하고 “관계 부처는 사회적 혼란과 불필요 공포심 키우는 가짜뉴스에 대해서는 단호히 대응하겠다”고 경고했다.

김남중 기자 n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