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5G 서비스 품질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올해 두 차례에 걸쳐 공개하기로 했다. 지난해 4월 세계 최초로 상용화에 성공한 이후 속도 저하 등 서비스 품질 논란인 끊이지 않았던 만큼 정부의 첫 5G 평가 결과에 관심이 쏠린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올해부터 5G 서비스에 대한 통신품질평가를 추진한다고 28일 밝혔다. 5G에 대한 정보 공개 요구가 많아 이용자에게 정확한 5G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동시에 통신사의 네트워크 투자 경쟁을 유도하는 효과를 노렸다. 평가 결과가 이용자에게 통신사를 선택하는 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에 이통사로서는 좋은 평가를 받기 위해 설비 확충에 나설 수밖에 없고, 이는 곧 서비스 품질 향상으로 이어질 것이란 기대다.
과기정통부는 우선 5G 네트워크가 확충된 인구 밀집 지역부터 측정을 실시하고 점차 전국으로 평가 영역을 넓혀갈 계획이다. 올해 상반기 서울 및 6대 광역시 100개 이상 지역을 평가하고, 하반기에 85개 시 주요 행정동 200여곳에서 평가한다. 내년부터 2022년까지는 전국 85개 시·도, 2023년 이후에는 전국 읍·면·동 단위까지 평가를 진행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는 평가가 이루어지는 공간을 옥외·실내·유동인구 밀집지역으로 세분화했다. 평가 기준은 해당 지역에서의 5G 서비스 제공 여부, 통신품질, 5G 사용 중 LTE로 전환되는 비율 등이다. 특히 이용자가 체감하는 통신품질을 평가하기 위해 대형건물, 도로 등 스마트폰 사용 빈도가 높은 공간을 평가대상에 다수 포함시킬 계획이다.
통신서비스 품질평가는 전기통신사업법에 근거해 이용자 편익을 증진하기 위한 목적으로 정부가 2007년부터 매년 시행하고 있다. 다만 올해는 두 차례에 걸쳐 평가 결과를 공개한다. 상반기 평가 결과는 오는 7월, 하반기 평가 결과는 11월에 발표할 예정이다.
정부의 평가를 앞두고 업계는 곤혹스러워하는 표정이 역력하다. 품질 평가가 매년 이루어져 왔지만 이번 평가는 두 차례에 걸쳐 세분화된 결과를 공개한다는 점에서 업계의 부담이 가중된다는 지적이다.
특히 아직 실내(인빌딩)에서 5G 서비스가 미흡한 만큼 이 부분에 대한 평가에 민감해하는 분위기가 감지된다. 이통업계는 그동안 인빌딩 커버리지(통신 범위) 확대를 위해 투자를 늘리고, 유동인구가 많은 백화점, 쇼핑몰은 물론 중소형 건물에서도 실내 5G 품질을 높이기 위한 기술 개발에 골몰해왔다. 장비 효율을 높이고 설치비 등 투자 비용을 낮추는 것과 지연(Latency) 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전파 혼재 지역에서 서비스 품질을 높여야하는 과제에 직면해 있는 상황이다.
업계 관계자는 “인빌딩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건물마다, 층마다 중계기를 설치해야 하는 데다 공사를 꺼리는 건물주가 반대하는 경우도 있어 아직도 현장에 어려움이 많은 상황”이라며 “평가 결과는 3사에 매우 민감하기 때문에 과열 경쟁을 하는 양상이 벌어질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과기정통부는 이통사와 협의를 진행해 구체적인 평가 일정을 마련할 예정이다.
김성훈 기자 hunh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