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균 “우한에 30~31일 전세기… 시스템 무너지면 신뢰도 무너져”

입력 2020-01-28 15:10 수정 2020-01-28 15:47
정세균 국무총리가 2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대응 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며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중국 후베이(湖北)성 우한(武漢)시에 체류하는 국민을 위해 30~31일 이틀간 전세기를 투입하기로 결정했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28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우한 폐렴) 대응 관계장관회의에서 “우한시에 체류하는 국민 중 귀국을 희망하는 이들을 위해 30~31일 양일간 전세기를 보내는 등 적극적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혔다.

정 총리는 “중국 정부가 우한시와 그 주변 지역을 사실상 봉쇄했고, 고립돼 있는 우리 국민들께서 정부의 지원을 요청해왔다”며 “재외 국민 보호라는 국가의 의무를 이행함에 있어 한치의 소홀함이 없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현지에서 이송되고 국내에 머무르시는 동안 감염증이 유입되거나 확산되지 않도록 방역 대책을 철저히 수립하겠다“고 강조했다. “중국에 마스크, 방호복 등 의료구호 물품을 전세기편으로 전달하는 등 협력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정세균 총리. 연합뉴스

정 총리는 국내 대응 방안과 관련해서는 “우리는 사스(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와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를 겪으면서 감염병을 막아낼 수 있는 튼튼한 제도를 구축했다”며 “병원 내 감염을 막기 위해 선별 진료 절차를 마련했고, 감염병 확산에 대비해 격리 병상과 음압 병실을 대폭 확대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런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고 실수나 부주의로 무너지지 않도록 하는 게 중요하다”며 “시스템이 무너지면 국민 신뢰도 무너지니, 지자체와 의료기관, 국민 여러분들의 협조를 다시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정 총리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산 우려가 커지면서 국내에서 사망자가 발생했다는 등의 가짜뉴스가 기승을 부린다”며 “관계 부처는 사회적 혼란과 불필요 공포심 키우는 가짜뉴스에 대해서는 단호히 대응하고, 국민들이 궁금해하는 사안에 대해서는 보건 당국이 하루 한 차례 브리핑을 하는 등 바로바로 설명해주길 바란다”고 주문했다.

28일 한산한 인천공항 내 중국 항공사 카운터의 모습. 연합뉴스

우한 주재 한국 총영사관이 27일 오후 11시55분(현지시간)까지 전세기 탑승 신청을 받은 결과 우한에 체류 중인 한국 국민 693명이 한국행 비행기 탑승 의사를 밝혔다. 총영사관은 “접수 명단일 뿐 아직 전세기 탑승자 확정 명단은 아니며 추가 공지가 있을 때까지 기다려 주시기 바란다”고 전했다.

총영사관은 추후 최종 탑승자 명단을 공지한 뒤 우한 시내 4곳을 집결지로 선정해 공항까지 셔틀버스를 운영할 계획이다.

귀국한 이들은 국가 지정 시설에서 14일(잠복기간) 동안 의무적으로 임시 생활한다. 검역 결과에 따라 추가 기간 동안 생활할 수 있다.

다만 감염 유증상자 또는 의심자(37.5도 이상 발열, 구토, 기침, 인후통, 호흡곤란 등)의 경우 공항에서 탑승이 제한될 수 있으며, 중국 당국에 의해 격리될 수 있다. 한국 국민의 가족이라도 중국 국적자는 중국 정부 방침에 따라 이번 전세기에 탑승할 수 없다.

박세원 기자 on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