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민주화운동 당시 행방불명자의 유해를 찾기 위한 발굴작업이 28일 착수됐다.
5·18 기념재단은 오는 2월 1일까지 5일간 광주 문흥동 옛 광주교도소 북쪽 무연고 수형자 공동묘지 주변에서 유해 발굴작업을 벌인다고 밝혔다.
경비교육대 뒤편 텃밭 2888㎡에서 진행될 발굴작업은 지난달 19일 인근에서 신원 미상 유골이 대량 발견된 데 따른 것이다. 문화재출토 방식으로 이뤄지는 발굴작업은 대한문화재연구원이 맡는다.
이날 잡초제거로 시작된 발굴작업은 굴착기를 동원해 지표면을 걷어낸 뒤 유해 매장 의심 등 특이점이 확인되면 흙을 일일이 체로 걸러내는 방식으로 실시된다. 유해 흔적이 발견되면 광주지검의 지휘를 받아 정밀발굴에 들어간다.
앞서 기념재단과 대한문화재연구원은 2017년 11월부터 2018년 1월까지 옛 광주교도소, 광주∼화순 간 너릿재터널 인근 도로, 옛 전투병과교육사령부 주둔 부지 주변 광주천변 등을 조사했으나 뚜렷한 성과를 거두지 못한 바 있다.
1980년 이후 중복된 경우를 제외한 총 행불자 신고는 242건이다. 심사를 거쳐 5·18 관련자로 인정된 경우는 84명으로 이중 그동안 유해를 찾고 유전자 감식을 통해 신원을 밝혀낸 희생자는 2002년 광주 망월동 무명열사 묘역에서 발굴된 6명뿐이다. 나머지 행불자 인정 78명의 주검은 어디에 있는지 아직도 확인되지 않고 있다.
5·18재단 측은 “발굴작업 부지는 법무부가 향후 청소년 법교육을 위해 운영할 ‘솔로몬로파크’ 진입로가 들어설 곳”이라며 “인접한 무연고자 묘지에서 신원미상 유골이 발굴된 만큼 진입로 공사착수 이전에 추가 발굴을 먼저 하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여·야 등 정치권 추천 조사위원 자격문제 등으로 지연됐다가 15개월만인 지난해 말 출범한 5·18진상규명조사위원회는 2월 말부터 다른 지역의 추가 유해발굴을 주관할 예정이다.
송선태 5·18진상규명조사위원장은 “5·18 직후 옛 광주교도소에 투입된 군인들이 암매장을 통해 28구의 사체를 처리했다는 증언이 있지만 11구만 발견됐을 뿐 아직 17구의 행방이 40년째 묘연하다”며 “옛 광주교도소 전역에 대한 발굴조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