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상하이 인민정부가 모든 근로자들에 대해 2월 9일까지 출근 금지령을 내렸다. 이에 따라 상하이에서 한국으로 넘어오는 컨테이너 선적도 전면 마비된 것으로 파악됐다. 국내 중소기업들의 피해도 우려된다.
28일 중소기업벤처진흥공단과 중소기업계에 따르면, 상하이 인민정부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우한 폐렴)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모든 근로자들에 대해 2월 9일까지 출근 금지령을 내린 상태다.
중진공 관계자는 “상하이 인민정부가 근로자들에 대해 전면 출근금지령을 내린 것으로 파악했다”며 “다만 강제적인 조치는 아니라 알음알음 근무를 하는 사람들은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그래도 컨테이너 선적과 물류 통행에 상당한 차질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상하이 인민정부의 출근금지 조치는 중소기업에도 직격탄이 되고 있다. 중국에서 기계류를 수입해 유통하는 사업을 하고 있는 중소기업 A사 관계자는 “현재 물류가 통행이 제한이 되고 업무처리를 위한 출장도 오고가지 못하고 있다”며 “정부에서 안정기에 접어들었다고 판단내릴 때까지 이 상황이 계속될 것 같다”고 말했다.
중소기업벤처부는 국내 기업의 피해를 파악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중소기업벤처진흥공단과 소상공인진흥공단 등의 산하기관을 통해 국내 기업의 피해를 파악하고, 구체적인 대책을 세우겠다는 방침이다. 특히 중기부는 이미 2015년 메르스 사태 당시에서 긴급자금 대출, 기존 대출 연장 등의 조치를 취한적이 있어 이번에도 같은 조치를 취할 필요가 있을지 적극 검토 중이다.
중기부는 이날 박영선 장관 주재로 현안 점검 회의를 갖고 우한 폐렴 사태에 따른 대책 등을 논의할 계획이다.
김남중 기자 n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