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우한 귀국자 전수조사 지시, 전세기 투입 검토

입력 2020-01-27 17:36


문재인 대통령은 27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인 ‘우한 폐렴’과 관련해 “중국 후베이성 우한 지역에서 입국한 사람들의 경우 전수조사를 추진하라”며 “총력대응을 위해서 군 의료 인력이나 군 시설까지도 필요하면 투입하라”고 지시했다. 정부는 우한에 체류 중인 우리 국민을 귀국시키기 위한 전세기 투입을 검토 중이다.

문 대통령은 이날 참모들을 만난 자리에서 우한 폐렴 확산 방지를 위해 선제적 조치를 해달라고 당부했다. 청와대 관저에서 열린 대책 회의에는 비서실장, 국가안보실장, 정책실장 등 3실장과 수석·보좌관이 전원 참석했다.

윤도한 국민소통수석은 브리핑에서 “발 빠르게 대처하고 필요한 모든 조치를 강구하라는 대통령의 지시가 있었다”며 “모든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국민들께 상황을 시시각각 전달해서 확산을 막도록 해달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청와대는 우한 폐렴과 관련해 청와대 국가위기관리센터가 컨트럴타워 역할을 한다고도 밝혔다. 2015년 박근혜정부 당시 늑장 대응 논란이 벌어진 ‘메르스 사태’를 반면교사 삼아 신속대응을 주문한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우한 폐렴 증상이 나타나면 병원부터 곧바로 찾는 대신, 질병관리본부 콜센터 긴급 전화번호인 ‘1339’로 연락해 조치를 받도록 적극 홍보하라고 지시하기도 했다. 문 대통령은 우한 폐렴 대책에 전념하기 위해 이번 주 예정됐던 복지부, 여성가족부의 신년 업무보고도 연기했다.

윤 수석은 자유한국당 등이 요구한 중국인 입국 금지에 대해선 “세계보건기구(WHO)도 이동금지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며 “현 단계에서 WHO 결정을 벗어나는 상황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총리실은 이날 오후 행정안전부와 외교부, 보건복지부, 국토교통부 등 관계부처 합동 회의를 열고 전세기 투입을 비롯한 현지 잔류 한국인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대책을 검토했다.

정부 당국자는 “우한에 전세기를 투입하는 문제와 관련해 중국 당국과도 협의하고 있다”고 전했다. 현재 우한에는 유학생과 자영업자, 주재원 등 500~600명의 한국인이 체류 중이며, 이 중 400명 이상이 전세기 탑승 의사를 주우한 한국총영사관에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당장 전세기를 띄우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다른 정부 당국자는 “지금 상황에서 전세기를 투입하려면 항공과 외교적 협의 외에도 고려해야 할 다른 사항이 많다”고 말했다. 400명 이상이 동시에 귀국할 경우 이들에 대한 국내 방역 대책이 분명히 세워져야 하기 때문이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이날 ‘우한 폐렴’과 관련해 “감염이 확산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노력이 가장 중요하다”며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의료기관 간 긴밀한 정보공유와 소통을 강조했다. 정 총리는 서울 동작구 보라매병원을 찾아 “정부는 현재 상황을 매우 엄중하게 인식하고 있다”면서 이같이 지시했다.

임성수 최승욱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