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후베이성 우한에서 발병한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우한 폐렴) 환자 및 사망자가 급속히 늘어나면서 세계 각국은 자국민 전염 확산을 막기 위해 필사적으로 나서고 있다. 대유행에 버금가는 질병으로 간주하고 대비하는 것은 물론, 강제조치, 중국과의 접경지역 폐쇄, 중국 방문자에 대한 의무 휴직·휴학 등 각종 조치가 취해지고 있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관계자는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을 ‘대유행병’(pandemic)인 것처럼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CNN은 26일(현지시간) CDC 산하 국립면역호흡기질환센터 책임자인 낸시 메소니에 박사가 “(우한 폐렴이) 대유행병인 것처럼 준비할 필요가 있다”면서도 “다만 나는 그렇지 않길 계속 희망하고 있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CDC는 미국 내에서 바이러스를 검사하는 유일한 연구소다.
메소니에 박사는 “CDC는 증상이 발현되기 전에 환자가 감염되는지에 대한 증거는 없다”면서도 “하지만 그럴 가능성을 조사 중이다”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앞서 마샤오웨이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 주임은 기자회견에서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에 대한 정보가 제한돼있다면서도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와 달리 잠복기에도 전염력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27일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우한 폐렴)을 법률에 따라 강제입원까지 할 수 있는 ‘지정감염증’으로 지정할 예정이라고 일본 NHK방송, 교도통신 등이 보도했다.
아베 총리는 이날 일본 중의원 예산위원회에 출석해 28일 열리는 각의(국무회의)에서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을 ‘감염증법’에 따른 지정감염증으로 지정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그는 “감염자에 대한 입원 조치와 공비(국가 및 공공단체 비용)로 적절한 의료 등이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라고 설명했다.
일본에서 지정감염증으로 지정될 경우 환자에 대한 강제조치가 가능하다. 환자에게 감염증 대응이 가능한 의료기관에 입원하도록 권고하고, 환자가 거부할 경우 강제 입원도 가능하다. 또 환자에게 일정 기간 일을 쉬도록 지시할 수도 있다.
몽골은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확산에 따른 우려로 중국과 접경지대를 폐쇄했다고 몽골 통신하 몬차메 등이 보도했다. 몽골은 아직까지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환자가 보고되지 않았지만, 남쪽으로 중국과 접하고 있어 전파 위험이 높다고 판단하고 있다.
사전 차단을 위해 몽골 정부는 중국 접경지대에서 차량과 도보 이동을 금지시켰다. 또 이날부터 일주일간 유치원부터 대학까지 전국 모든 학교에 휴교령을 내렸다. dpa통신은 신종코로나바이러스 발병지인 중국 우한에 몽골 유학생 31명이 살고 있고, 이날 중 몽골로 귀국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싱가포르 정부는 중국에 다녀온 학생이나 의료시설 종사자 등에게 2주간 의무휴가 조치를 시행하기로 했다. 스트레이츠타임스, CNN 등은 싱가포르 범정부 태스크포스(TF)가 27일 오전 기자회견을 열고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대응방안을 발표하면서 이같이 발표했다고 보도했다.
TF는 설 연휴에 중국을 방문한 학생 및 미취학 아동 교육기관을 포함한 학교 근로자, 의료시설 및 노인 돌봄 시설 근로자들은 건강 상황과 여행 이력 진술서를 해당 시설에 제출하도록 했다. 특히 타인과 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해 중국에서 돌아오자마자 14일간 의무 휴가를 써야 한다고 덧붙였다. 학교에 나오지 않는 기간에는 가정학습이 이뤄질 것이라고 교육부는 설명했다.
호주 정부는 중국 후베이성을 ‘여행 금지지역’으로 지정했다. 또 중국에서 호주로 도착하는 모든 항공편 승객에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증상과 대처 방법등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권중혁 기자 gre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