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남부, 초미세먼지 취약지역… 여주, 최악 ‘불명예’

입력 2020-01-27 12:27 수정 2020-01-27 14:27

경기남부 지역이 초미세먼지(PM2.5)에 가장 많이 노출되는 지역으로 나타났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김학용 위원장(자유한국당, 경기 안성)이 환경부와 국립환경과학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2019년도 기초단체별 초미세먼지 연평균 농도)에 따르면 전국에서 연평균 초미세먼지 농도가 가장 높은 기초자치단체는 경기도 여주시로 33㎍/㎥를 기록했다.

그 뒤를 이어 경기도 부천시와 충남 당진시, 충북 증평군 등 3곳이 32㎍/㎥를 나타냈다.

이처럼 전국에서 연평균 초미세먼지의 농도가 가장 높은 곳은 물론이고 높은 지역 4곳 중 2곳이 경기남부에 위치한 기초지자체이다.

범위를 30㎍/㎥로 확대하면 경기남부 지역의 시흥시(30㎍/㎥)가 포함된 전북 익산시, 충남 아산시(31㎍/㎥) 등 7곳으로 경기남부 지역이 3곳이나 돼 여전히 월등히 높게 차지하고 있다.

광역자치단체별로는 충북이 2018년(26㎍/㎥)에 이어 지난해에도 28㎍/㎥로 17개 광역 시·도 중 연속 1위의 불명예를 안았다.

이어 경기도와 세종시, 충남도와 전북도가 26㎍/㎥로 그 뒤를 이었다.

서울은 25㎍/㎥를 기록, 전국에서 6번째로 높았다.

광역자치단체 중 가장 높은 충북의 28㎍/㎥을 기준으로 볼때 28㎍/㎥ 이상인 곳은 전국적으로 22곳으로, 경기남부 기초지자체는 평택·화성시(29㎍/㎥)와 안성시(28㎍/㎥)가 추가돼 6곳으로 가장 많다. 충북은 5곳이고, 서울은 3곳이다.

경기남부와 충북이 전체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다.

김 위원장 측에 따르면 지난해 추경으로 확보된 예산 1조459억원 중 실제 집행된 예산은 6903억원으로 집행율은 66%에 불과한 것으로 파악됐다(지난해말 기준).

특히 ‘국가미세먼지 정보센터 운영 사업’은 22억7600만원 중 1억5900만원을 집행해 가장 낮은 7%의 집행율을 보였다.

‘굴뚝원격감시 체계구축을 위한 자동측정기기 부착지원 사업’은 183억원 중 27억6400만원만 집행돼 15%의 집행율을 기록했다.

이밖에도 ‘가정용 저녹스 보일러 보급사업’은 19%,‘미세먼지 불법배출원 조사 및 감시사업’은 21%, ‘2단계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산정시스템 개발 사업’은 24%의 집행율을 보이는 등 미세먼지 추경사업 전반에 걸쳐 집행이 미흡했다.

김 위원장은 “경기 남부권과 충청권은 편서풍을 타고 유입되는 중국발 등 국외 미세먼지의 직접적인 타격을 받는 지역이지만, 정작 정부의 미세먼지 대책은 서울 등 일부 수도권에만 집중되어 있다”면서 “면밀한 대책을 통해 미세먼지 피해가 우려되는 지역을 중심으로 실효성있는 예산집행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