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7년 미얀마 상공에서 실종된 ‘KAL858기’로 추정되는 동체가 발견됐다.
MBC는 당시 정부가 해당 사건을 “북한 지령에 의한 공중폭발”로 결론 냈으나 KAL858기로 추정되는 동체를 발견했다고 23일 보도했다.
KAL858기는 1987년 11월29일 이라크 바그다드에서 출발해 김포공항으로 향하다 인도양 상공에서 실종됐다. 탑승객·승무원 115명이 전원 실종됐다.
잔해나 교신 기록을 찾지 못한 상황에서 대한항공 회장은 사고 다음 날 불순 세력에 의한 테러 사건이라고 발표했다.
이틀 뒤엔 전두환 당시 대통령이 북한에 의한 공중 폭파 사건이라고 밝혔다. 그러고는 테러범인 북한 공작원 김현희, 가명 마유미가 대선 하루 전날 국내로 압송됐다. 김현희는 1990년 자백만으로 사형선고를 받았고, 2주 뒤 노태우 대통령의 특별사면으로 풀려났다.
이후 2006년 국정원 과거사 진실위 등이 구성돼 1987년 당시 전두환 정권이 대선에 858기 사고를 이용한 공작이 있었음을 밝혀냈다.
MBC는 특별취재팀이 미얀마 동남쪽 안다만의 50m 해저에서 KAL858기로 추정되는 동체를 발견했다고 전했다. 엔진 형체의 물체 등 동체 잔해로 추정되는 4개의 물체가 수중 카메라에 잡혔다.
MBC는 전문가에게 영상 분석을 의뢰한 결과 이 잔해가 KAL858기의 엔진과 날개로 추정된다고 결론지었다. 1940년 이후 안다만에 추락한 항공기는 영국 공군기, 미얀마 군수송기, KAL858기 총 3대다. MBC는 발견된 잔해와 같이 프로펠러 엔진과 주 날개가 동일한 선상에 위치한 형태는 KAL858기뿐이라는 것이 전문가들 의견이라고 전했다.
MBC는 당시 정부의 수색에 의문을 제기했다. 여객기 항로를 바탕으로 추락지점이 해역 일대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었을 텐데 산악지대를 수색했다는 것이다. KAL858기 사건 민간수색조사단 총괄팀장인 신성국 신부는 “국토부가 사고 조사를 제대로 하지 않았고, 안기부가 주도해 모든 사건을 조사했다”고 주장했다.
KAL858기 가족회와 KAL858기 진상규명 대책본부는 그간 폭파사고 당시 쓰인 폭발물이 북한에 존재하지 않았고, 폭파 주범인 김씨의 진술은 거짓이라고 주장해왔다.
박세원 기자 on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