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연휴 이후 1980년 5·18민주화운동 때 실종된 광주시민 등을 찾기 위한 발굴작업이 다시 이뤄진다. 옛 광주교도소 부지에서 5·18 행방불명자들의 유해를 찾기 위한 것이다.
5·18기념재단은 오는 28일부터 다음 달 1일까지 5일간 신원미상의 유골이 발견된 광주 북구 문흥동 옛 광주교도소 무연고 수형자 공동묘지 주변에서 발굴 조사를 실시한다고 23일 밝혔다.
지난달 19일 공동묘지 무연고 수형자 공동묘지에서는 신원을 알 수 없는 유골 40여 구가 대량 발견된 바 있다.
기념재단 측은 현재 유전자 정보를 활용한 정밀 감식이 진행되고 있다며 다른 유골의 매장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발굴 장소는 옛 교도소 경비교육대 건물 뒤편 텃밭 2888㎡ 면적이다.
발굴은 대한문화재연구원이 문화재 출토 방식으로 진행한다. 시굴 조사를 통해 특이점이 확인되면 굴착기와 삽 등을 사용해 지표면을 긁어낸 뒤 유해로 의심되는 물체는 흙을 체로 걸러내는 문화재 출토 방식이다.
유해 흔적이 발견되면 광주지검의 지휘를 받아 정밀 발굴을 벌이게 된다.
이에 따라 기념재단은 해당 부지에 예정된 도로개설 공사를 중단해달라고 광주시에 요청했다.
5·18기념재단과 대한문화재연구원은 28일 오전 10시 구체적인 발굴 조사 계획을 언론에 공개한다고 덧붙였다.
대한문화재연구원은 지난 2017년 광주교도소와 광주와 화순 경계인 너릿재 등에서 발굴조사를 벌인 바 있는 전문 발굴업체다.
신원미상 유골 수십 구가 발견된 교도소 공동묘지 터는 5·18행불자의 암매장지로 지목돼왔다.
광주지검이 작성한 ‘광주교도소 동향’에는 ‘1980년 5월21일 시신 6구가 교도소 공동묘지 주변에 임시 매장됐다’고 기록돼 있다. 광주지검이 1980년 5월24일 교도소에 검시를 지시한 통신문도 남아있다.
5·18 직후 교도소 내 관사 뒤에서는 시신 8구, 교도소 앞 야산에서는 시신 3구가 암매장 상태로 발견됐다.
그동안 암매장지 발굴 작업은 1997년부터 2018년까지 옛 교도소 등지서 11차례 이뤄졌으나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하지만 광주시는 추가적인 행방불명자 가족들의 유전자 자료 확보에 나서기로 했다. 다음달 3일부터 행불자의 부모와 형제·자매뿐 아니라 이모·외삼촌 등을 대상으로 혈액 채취 신청을 받는다.
행불자 가족 혈액채취는 향후 암매장 발굴 등에서 유골이 발굴될 경우 유전자 정보를 비교하기 위한 것으로 현재 전남대 법의학교실에는 행불자 154가족 334명의 혈액이 보관 중이다.
5·18기념재단 관계자는 “지금까지 공식 인정된 행불자 84명 중 6명의 유골만 지난 2002년 무명열사 묘역에서 발굴됐다”며 “행불자 인정 가족 중에도 아직 혈액채취를 하지 않은 게 14가족이나 돼 추가 접수 신청을 받기로 한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