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는 지역 건설업체 살리기와 건설 명문 도시 이미지 회복을 위해 지역 업체 참여 비율에 따라 전국 최고 수준의 용적률 인센티브를 제공한다고 23일 밝혔다.
용적률은 대지면적에 대한 건축연면적의 비율을 뜻하는 것으로 용적률이 높으면 그만큼 더 높은 건물을 지을 수 있다. 이 때문에 새 건물을 짓는 대형 건설사들의 경우 용적률 인센티브를 받으면 더 많은 수익을 낼 수 있다.
지역 업체 참여 비율이 50% 이상이면 시공자 선정 시 최대 20%, 설계자 선정 시 최대 3%까지 지원한다. 합치면 최대 23%까지 인센티브를 받을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전국 최고 용적률 인센티브로 유례를 찾기 힘든 파격적인 혜택이라고 대구시는 설명했다.
대구시는 인센티브 외에도 구·군과 함께 지역 업체들이 수주활동을 적극적으로 펼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고 정비사업에 관심이 많은 조합원·시민들이 참여하는 ‘도시재생아카데미’ 과정에 인센티브 제도와 지역 업체를 홍보하는 등 다양한 행정지원을 할 방침이다.
대구의 건설업은 과거 섬유산업과 함께 대구의 지역경제를 이끌었던 분야다. 대구 건설업 호황의 절정이던 1990년대에는 우방 등 20여개 지역 건설사가 자리를 잡고 있어 외지 건설사가 들어올 틈이 없었다. 1997년 일반건설업 수주현황자료에 따르면 대구는 3조7000억여원으로 전국 5%를 차지했다.
하지만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사태를 거치면서 청구, 우방, 보성 등 지역 주력 건설사들이 법정관리, 워크아웃, 화의 신청 등 어려움을 겪으며 급격하게 쇠퇴해 현재는 외지 대형 건설업체들에게 자리를 빼앗겼다. 지역 대형 건설사들이 사라지면서 중·소 건설 업체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대구시는 외지 업체에 밀려 수주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 중·소 건설업체를 지원하기 위해 2018년부터 지역 업체 참여 비율에 따른 용적률 인센티브를 시행했다. 제도의 적극적인 활용을 위해 인센티브 규모도 대폭 확대했다.
김창엽 대구시 도시재창조국장은 “지역 업체 지원에 최선을 다해 대구경제가 더욱 활성화 되도록 노력할 것”이라며 “지역 건설업체의 수주율 향상과 경쟁력 확보로 주택건설명문도시의 자부심을 되찾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