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유성에 있는 한국원자력연구원 내 시설에서 지난해 방사성 물질이 방출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조사팀을 보내 원인을 파악 중이다.
원안위는 22일 “세슘137, 세슘134, 코발트60 등 인공방사성 핵종이 연구원 내 자연증발시설 주변 우수관으로 방출됐다는 보고를 21일 받았다”고 밝혔다. 원안위는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 사건조사팀을 연구원에 파견해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원안위에 따르면 원자력연구원은 지난해 12월 30일 연구원 정문 앞 하천 토양에서 시료를 채취했고, 올해 1월 6일 이 시료에서 방사능 농도가 증가했음을 확인했다. 최근 3년간 이곳의 세슘137 핵종의 평균 방사능 농도는 0.432 Bq/kg 미만이었지만, 이 조사에서 59배 정도인 25.5Bq/kg까지 치솟은 것을 확인한 것이다.
연구원은 자체 조사를 진행했고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21일, 원안위에 자연증발시설이 이번 사고의 원인으로 추정된다고 보고했다. 원자력연구원의 조사에서는 이 시설 주변의 하천 토양에서는 세슘137 핵종의 방사능 농도가 최고 138Bq/kg을 기록했다.
현재 연구원에 파견된 KINS 조사팀 역시 자연증발시설 옆 맨홀을 발원지로 보고, 정확한 원인을 조사 중이다. 또 환경영향평가와 모든 시설에 대한 점검을 하고 있다.
다만 연구원 외부를 흐르는 하천 토양의 방사능 농도는 평상시 수치(0.555∼17.9Bq/kg)를 벗어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