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맥주 수입액이 2009년 이후 10년 만에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009년이 금융위기 상황이었음을 고려하면 맥주 수입이 줄어든 건 사실상 사상 처음이라는 해석이다.
맥주 수입액이 감소한 것은 지난해 7월 일본의 반도체 소재 수출 규제 이후 일본 맥주 불매운동이 활발하게 벌어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22일 관세청 수출입 무역통계와 주류업계 등에 따르면 지난해 맥주 수입액은 2억8088만달러(약 3278억원)로, 2018년 3억968만달러보다 9.3% 감소했다.
수입맥주가 국내에 본격적으로 들어오기 시작한 2000년 이후 맥주 수입액이 줄어든 것은 2009년을 제외하면 이번이 처음이다.
수입맥주의 부진은 무엇보다 지난해 7월 시작된 일제 불매운동이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2017~2018년 수입맥주 3강인 일본, 중국, 벨기에 중 중국과 벨기에 맥주는 지난해 수입액이 증가했으나 일본 맥주만 ‘반토막’이 났다.
지난해 일본 맥주 수입액은 49.2% 감소하면서 3976만달러(약 464억원)를 기록, 중국(4346만달러)에 1위 자리를 내주고 3위 벨기에(3862만달러)에 바짝 추격당하게 됐다.
2018년만 해도 일본 맥주는 7830만달러 어치가 수입돼 2위 중국(4091만달러), 3위 벨기에(3천618만달러)를 합친 것보다 많았다.
2018년 국내 시장 점유율 20%를 기록하며 국산을 위협하던 수입맥주의 ‘호시절’은 돌아오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올해부터 맥주 과세 체계가 종량세로 전환되면서 기존에 수입맥주가 누렸던 가격 경쟁력이 사라졌기 때문이다.
최근 편의점 CU 조사에서는 국산 맥주의 매출이 지난해 하반기 30% 이상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제 맥주 역시 국산 맥주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18년 1.9%에서 지난해 5.6%까지 높아졌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