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한국 경제 성장률이 2.0%에 그쳤다. 민간 부문의 부진으로 2009년 이후 10년 만에 가장 낮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22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실질 국내총생산(GDP) 속보치 통계를 보면 지난해 GDP는 전년보다 2.0% 증가했다.
민간 전망기관에선 이보다 못한 1.9% 성장률을 기록할 것이란 예측이 많았다. 하지만 4분기 성장률이 전기 대비 1.2% 성장해 예상을 웃돌면서 2%대 성장률을 유지했다.
성장률이 2%를 밑돈 적은 제2차 석유파동이 터진 1980년(-1.7%), 외환위기 때인 1998년(-5.5%), 2009년(0.8%) 등 3차례에 불과하다.
지난해 미중 무역분쟁, 반도체 경기 침체 등의 대외요인이 겹치면서 민간 경제가 침체에 빠진 것이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힌다. 민간소비와 설비투자 등 민간 경제가 깊은 침체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연간 성장률을 지출 항목별로 살펴보면 민간소비가 1.9% 성장해 2013년(1.7%) 이후 가장 낮은 성장세를 보였다.
설비투자와 건설투자는 각각 8.15, 3.3% 감소했다. 수출은 1.5% 성장하는 데 그쳤다.
정부가 적극적인 재정 등으로 민간 경제 활력 제고에 올인했지만 민간 경제가 기대 만큼 살아나지 않은 모습을 보인 셈이다.
연간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반도체 가격 하락 등에 따른 교역조건 악화로 전년 대비 0.4% 감소했다.
한편 4분기 성장률이 선방한 것은 민간소비, 건설투자, 설비투자가 개선되면서 수출 둔화를 만회한 영향이 컸다.
민간소비는 전기 대비 0.7%, 건설투자는 6.3%, 설비투자는 1.5% 각각 증가했다. 수출은 전기 대비 0.1% 감소했다.
4분기 성장률(1.2%) 중 정부 부문의 성장기여도는 1.0%포인트를 차지해 사실상 성장을 견인했다.
한은 관계자는 “작년 4분기 민간소비, 건설투자, 설비투자가 나아졌다는 점에서 경기 개선 조짐이 일부 나타나고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