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우한 폐렴)의 전파력은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와 비슷할 것으로 보인다.
엄중식 가천길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감염병의 전파력은 한 사람이 얼마나 많은 감염자를 만들어내는지 나타내는 ‘재생산지수’를 통해 알 수 있다”며 “메르스의 경우 0.4∼0.9명, 사스는 4명이다. 우한 폐렴의 전파력은 두 질환 사이 어디쯤일 것”이라고 22일 말했다.
우한 폐렴의 재생산지수는 이번 주가 지나면 가닥이 잡힐 것으로 보인다. 현재까지 공개된 환자 추이상으로는 메르스와 비슷한 수준이지만 이번 주를 지나면서 환자가 대거 발생한다면 사스 수준의 전파력을 보일 수도 있다는 의미다.
전염 방식은 공기 전파는 아닐 것으로 추정된다. 대부분 코로나바이러스는 비말(침방울)로 전파된다. 공기 전파의 경우 의료기관에서 인공호흡이나 기도삽관 등을 할 때 환자의 분비물이 에어로졸(공기 중에 떠 있는 고체 입자 또는 액체 방울) 형태로 퍼지는 특수한 사례다.
김우주 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공기전파 가능성은 없다고 보인다”며 “최근 세계보건기구(WHO)가 발표한 감염 예방 가이드라인에서도 기본적으로는 비말 전파를 주의해야 한다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비말이 잘개 쪼개져 에어로졸 전파가 가능한 의료기관에서는 일반적인 전파 방식을 넘어설 수도 있다. 전파 방식이 특정되지 않은 만큼 어떤 상황에서 전파가 가능한지 다각적으로 고려해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
해외 감염자가 국내로 유입되는 비행기 내에서는 전파력이 일반적인 상황보다 낮다. 질병관리본부는 기내 확진환자 접촉자 분류시 앞과 뒤 3열을 포함해 총 7열에 탑승한 경우로 한정했다. 박혜경 질본 위기대응생물테러총괄과장은 “비행기에서는 공기를 아래로 내리는 여압 공기순환이 이뤄진다”며 “전파력이 강한 홍역, 결핵도 전파가 거의 이뤄지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다만 당장은 우한 폐렴의 정확한 전파력은 알 수 없어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엄 교수는 “중국에서 나오는 정보가 제한적이고 아직은 감염병 발생 초기 단계로 정확한 판단을 하기는 어렵다”며 “앞으로 중국에서 발생하는 환자 추이를 살펴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민지 기자 pm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