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 악화로 더 줄어도 영향 미미할 듯
이란산 원유 수입 없어 수급 우려도 적어
호르무즈해협 독자파병 결정이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평가된다. 우선 수출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하다. 지난해 이란으로의 수출액은 전년 대비 90% 가까이 급감했다. 전체 수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에 못 미친다. 원유 수급에 차질이 빚어질 일도 없다. 한국은 지난해 5월부터 이란산 원유를 수입하지 않고 있다.
다만 양국 관계가 악화하면 중동 국가들과의 교역 등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정치적 이유 때문에 한국 기업에 적대적 입장으로 돌아설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전문가들은 ‘경제협력의 끈’을 놓치지 않기 위해서라도 민간 교류를 확대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해 이란으로의 수출액이 2억8200만 달러라고 21일 밝혔다. 2018년(22억9500만 달러)과 비교해 87.7%나 줄어든 금액이다. 미국이 주도하는 국제사회의 이란 경제재제 여파가 수출 규모를 끌어내렸다. 이번 파병 결정으로 양국 관계가 냉랭해지면 올해 이란으로의 수출액은 더 줄어들 수 있다. 다만 수출액 자체가 크지 않아 한국의 전체 수출에 미치는 파장은 적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전체 수출액(457억2000만 달러)에서 이란 비중은 0.6%에 불과했다.
원유 수급도 우려할 필요가 없다. 대한석유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이란산 원유 도입물량은 3323만 배럴에 그쳤다. 그나마도 지난해 4월까지 들여온 물량이다. 미국의 이란산 석유 수입제재 예외국에서 한국이 제외된 지난해 5월 이후로 도입물량은 ‘0’이다.
정부나 전문가들은 이런 교역 상황을 봤을 때 당장 한국 경제에 미치는 ‘무역리스크’는 없다고 분석한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은 관련 보고서에서 “에너지·수출 영향이 적어 거시경제에 미치는 파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진단했다.
하지만 앞으로가 문제다. 한국과 이란의 긴장관계가 이어지면 한국 기업의 중동지역 진출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 중동 국가들이 종교적으로 이어져 있다는 게 최대 변수다. 한국과 한국 기업을 바라보는 인식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배제하기 힘들다.
전문가들은 미연에 이런 사태를 막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장윤희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전문연구원은 “정부에서도 원화결제 시스템 도입 등으로 이란과 계속 교류하는 방안을 강구하는 것으로 안다. 정부와는 별개로 학술 교류 등 민간 분야 교류를 늘려 양국 간 협력관계가 훼손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이는 게 필요하다”고 말했다.
세종=신준섭 이종선 기자 sman32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