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 20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우한 폐렴) 확진환자가 처음 발생함에 따라 전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주의가 요구된다. 특히 보건 당국은 설 연휴가 코앞으로 다가온 만큼 확산 차단을 위해 국민과 의료계의 협조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질병관리본부는 우한 폐렴 발생지인 중국 우한시를 방문하는 국민들에게 현지에서 야생동물 및 가금류 접촉을 피할 것을 당부했다. 또 감염위험이 있는 시장과 의료기관 방문과 호흡기 유증상자(발열·호흡곤란)와의 접촉을 자제해야 한다.
국내에 입국할 때는 건강상태 질문서를 성실히 작성하고 발열이나 기침, 숨가쁨 등 호흡기 증상이 있을 경우 검역관에게 신고하는 등 검역조사에 협조해 줄 것을 당부했다. 또 우한시에서 귀국 후 14일 이내에 발열이나 호흡기 증상이 발생하면 질병관리본부 콜센터(1339)나 보건소에 상담해 줄 것을 요청했다. 의료기관에서는 호흡기 질환자 내원 시 문진 및 우한시 입국자 명단 통보를 통해 선별진료를 철저히 하고, 우한 폐렴 환자로 의심될 경우 1339로 신고할 것을 당부했다.
아울러 국내는 현재 인플루엔자 유행으로 인해 호흡기 증상자가 많이 발생하고 있어 모든 국민들은 ‘국민 감염예방 행동수칙’을 따라줄 것을 권고했다. 국민 감염예방 행동수칙을 보면 우선 기침 등 호흡기 증상이 있을 경우 마스크를 반드시 착용해야 한다. 마스크가 없다면 기침할 때 옷소매로 입과 코를 가려야 한다. 또 외출 후에는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손을 씻는 게 좋다. 발열, 기침 등 호흡기 증상이 발생한 지 14일 이내에 우한시 방문력이 있는 국민은 병원에 문진할 때는 여행력을 의료진에게 알려야 한다.
우한 폐렴은 현재 질본에서만 검사가 가능하다. 질본은 그러나 향후 검사량이 늘어날 것을 대비해 각 시·도에 있는 보건환경연구원 7곳에서도 검사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이르면 22일부터 지역에서도 우한 폐렴 감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우한 폐렴은 백신이나 별도 치료법은 없는 상태다. 의사의 판단에 따라 항바이러스제, 2차 감염을 막기 위한 항생제 등 대증요법으로 치료한다. 질본 관계자는 “기존의 코로나바이러스 검사법은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어 빠른 시간 내에 검사가 가능한 방법을 마련하고 있다”며 “내달 초까지 구축될 것”이라고 말했다.
모규엽 기자 hirt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