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V80, 주행 상황 따라 바퀴 구동력 다르게 배분한다

입력 2020-01-20 11:55
현대위아 관계자가 20일 경상남도 창원시 현대위아 창원2공장에서 전자식 차동제한장치(e-LSD)를 만들고 있다. 현대위아 제공

제네시스 브랜드가 지난 15일 출시한 최초의 플래그십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GV80’은 주행·노면 상황에 따라 좌우 바퀴의 구동력 배분이 달라진다. 후륜 구동 기반의 ‘전자식 차동(差動) 제한장치(e-LSD)’가 장착돼 있기 때문이다.

현대위아가 다양한 환경에서 안정적인 주행을 돕는 e-LSD 개발을 마치고 양산에 들어갔다고 20일 밝혔다. 국내 자동차부품사가 후륜 차량용 e-LSD를 생산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e-LSD는 자동차의 주행 상황에 따라 바퀴에 전달하는 구동력을 능동적으로 제어하는 부품이다. 일반적인 직진 주행 상황에서는 바퀴의 왼쪽과 오른쪽에 동일한 동력을 배분한다. 그러나 급격한 선회 주행을 하거나 늪에 빠지는 상황 등 한쪽 바퀴가 헛돌 수 있을 땐 반대편 바퀴에 동력을 집중해 탈출을 돕는다.

특히 고속으로 코너를 돌 때 운전자의 의도대로 회전이 되지 않는 문제인 ‘언더스티어(UnderSteer)’와 ‘오버스티어(OverSteer)’ 상황에서 좌우 바퀴에 동력을 적절히 배분해 안정적으로 주행할 수 있게 만들어 준다.

후륜구동 기반 플래그십 SUV 제네시스 'GV80'. 제네시스 제공

무엇보다 현대위아는 e-LSD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인 반응 속도를 세계 최고 수준으로 높였다. 유압식 액추에이터를 이용해 노면 상태와 주행 상황에 따라 차량에 발생하는 미세한 압력 변화를 인지하고 0.25초 이내에 최적의 주행 동력을 배분하도록 했다.

현대위아 관계자는 “바퀴에 전달할 수 있는 최대 토크 용량은 235㎏f.m로 대부분의 승용 및 SUV 차량에 적용할 수 있는 점도 강점”이라고 설명했다.

현대위아는 후륜 차량용 e-LSD 양산으로 4륜구동 부품 풀-라인업의 양산체제를 구축하게 됐다. 현대위아는 이를 기반으로 글로벌 완성차로의 4륜구동 부품 수주에도 적극적으로 나설 계획이다. 실제 글로벌 완성차 시장에서 4륜구동 및 고성능 차량의 수요가 크게 늘어나고 있어 수주 전망도 긍정적이다. e-LSD는 경남 창원시 성산구에 위치한 현대위아 창원2공장에서 연 약 6만대 규모가 생산될 예정이다.

원광민 현대위아 차량부품연구센터 상무는 “이번 제품은 현대차의 고성능 모델인 ‘i30N’, ‘벨로스터N’ 등에 탑재되는 전륜 e-LSD를 만들며 쌓은 노하우를 모두 녹여 만들었다”면서 “어떠한 상황에서도 안정적으로 운전의 재미를 느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임세정 기자 fish813@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