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4부(부장검사 이복현)는 20일 오전 장충기 전 삼성 미래전략실 차장(사장)을 소환해 2015년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을 둘러싸고 제기된 의혹 관련 그룹 내 의사결정 과정 전반을 캐묻고 있다.
장 전 사장은 이날 오전 9시15분쯤 검찰에 출석하면서 ‘고의로 주가를 조작했느냐’, ‘검찰 출석을 회피한 건가’ 등 기자들 질문에 답하지 않고 조사실로 들어갔다.
장 전 사장은 검찰의 수차례 출석 요구에 응하지 않다가 지난 18일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등의 파기환송심 법정에서 소환장을 받고 이날 검찰에 출석했다.
검찰은 삼성바이오로직스 회계사기는 물론 합병 직전 삼성물산 회사가치의 비정상적 하락도 이 부회장의 지배력 강화를 위해 그룹 차원에서 계획됐다고 의심하고 있다.
이 부회장이 지분을 보유한 제일모직의 가치를 부풀려 삼성물산과 합병하고 이 부회장에게 유리하게 적용된 합병비율을 정당화하기 위해 제일모직 자회사인 삼성바이오로직스에서 분식회계를 벌였다는 것이다.
검찰은 이달 들어 김신 전 삼성물산 대표와 김종중 전 미전실 전략팀장(사장) 등을 잇따라 불러 제기된 의혹과 경영권 승계 과정의 연관성을 확인하고 있다. 최지성 전 미전실장(부회장)과 이 부회장도 곧 소환 조사를 받을 것으로 보인다.
검찰은 2018년 11월 금융위원회 산하 증권선물위원회로부터 삼성바이오로직스 분식회계 혐의 고발장을 접수한 이후 1년 2개월간 관련 수사를 해왔다. 합병·승계 의혹 수사의 단초가 된 삼성바이오의 회계사기 혐의는 수사를 사실상 마무리하고 김태한(63) 대표이사 등의 사법처리만 남겨둔 상태다.
권기석 기자 key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