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방역 사례 소개…‘4가지 방안’ 주효했다 평가
OIE, 182개 회원국에 한국 사례 공유키로
한국의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대응 방식에 국제사회가 주목하고 있다. 첫 발병 이후 한 달도 안 돼 돼지농장 발병 소식이 뚝 끊긴 점에 각국 대표들의 이목이 쏠렸다. 4가지 중점 방역 조치가 주효했다는 한국 정부의 설명에 귀 기울였다. 이를 통해 마지막 발병 이후 100일 이상 추가 발병을 막아냈다는 사실 때문이다. 국제수역사무국(OIE·세계동물보건기구)은 회원국 전체에 한국 방역 조치 사례를 공유하겠다고 밝혔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17일(현지시간)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ASF 고위급 국제회의에서 이재욱 차관이 한국의 방역 조치를 소개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날 회의에는 장관급을 비롯한 60개 OIE 회원국 고위 관계자들이 모였다. ‘ASF의 위협 아래 세계 양돈산업의 미래’를 주제로 회원국 중 11개국이 자국 대응 방안을 공유했다.
지난해 9월 첫 확진 사례가 나온 한국도 발표자로 나섰다. 크게 4가지 방역 조치를 소개했다. 우선 ASF가 발생한 4곳(인천 강화군, 경기 김포·파주시 및 연천군)의 사육돼지를 전량 수매·살처분한 조치를 꼽았다. ASF 바이러스 숙주 제거를 위한 조치라는 설명을 덧붙였다.
발생 직후 국가 차원의 대응에 나선 점도 주요 조치로 평가했다. 국무총리가 주재하는 영상회의를 통해 신속한 정책 결정과 정보 공유가 가능했던 점을 강조했다. 영상회의에는 정부부처와 공공기관, 지자체 관계자등 700~800명이 참석했었다.
발생지역을 중심으로 경기·강원도에 4개 ‘중점관리지역’ 권역을 설정해 관리한 점도 효과적이었다고 밝혔다. 농식품부는 중점관리지역 내 축산 관계 차량이 타 지역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통제해 수평 전파를 막고 있다. 축산 차량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으로 6만여대 차량의 이동을 관리·통제할 수 있는 체계가 기반이 됐다. 러시아 등 국가들이 가장 관심을 보인 대목이다.
마지막으로는 야생 멧돼지 이동 차단 조치를 들었다. 야생동물 주무부처인 환경부는 북한강을 따라 조성된 46번 국도를 기점 삼아 광역 울타리를 설치했다. 광역 울타리 이북 지역의 야생 멧돼지 남하를 저지해 ASF 확산을 막기 위한 조치다. 덕분에 18일까지 확인된 야생 멧돼지 ASF 감염 사례 86건 중 64번 국도 이남 지역 발생 사례는 없다.
4가지 조치가 맞물린 효과는 결과로 나타났다. 지난해 10월 10일 경기 연천군 14차 돼지농장 발생이 마지막이었다. 발생 이후 한 달도 지나지 않은 시점이다. 이후 19일 기준 101일째 농장 기준으로 추가 발병 사례는 보고되지 않았다. 이 차관과 양자 면담을 가진 모니크 에르와 OIE 사무총장은 “한국의 방역 조치를 182개 OIE 회원국에 공유해 각국 ASF 방역 정책 수립 시 참고할 수 있게 하겠다”고 말했다.
세종=신준섭 기자 sman32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