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19일 세종대왕과 노비 출신 천재 과학자 장영실을 다룬 영화 ‘천문:하늘에 묻는다’(이하 천문)를 관람했다.
한정우 청와대 부대변인은 이날 서면 브리핑을 통해 문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가 이날 오전 서울 중구 롯데시네마 에비뉴엘에서 ‘천문’ 영화 관계자 및 기상청 직원들과 환담하고 영화를 함께 관람했다고 전했다.
문 대통령은 환담 자리에서 영화 제작자들을 응원하고 세종대왕과 장영실처럼 하늘을 관측해 국민에게 봉사하는 기상청 공무원들을 격려했다.
한 부대변인은 “오늘 관람은 영화 이야기처럼 실력 있는 인재가 능력에 따라 공정하게 인정·대우받는 사회가 중요하다는 의미를 알리고, 한국적 소재를 영화화해 새해 첫 100만 관객을 돌파한 우수한 작품을 응원하기 위해 마련됐다”고 설명했다.
환담에서 문 대통령은 “세종대왕 시절은 우리 역사상 과학기술이 융성했던 시기”라며 “그 주인공이자 관노였던 장영실을 발탁해 종3품 벼슬을 내렸는데 ‘안여사건’(임금이 타는 안여가 부서지는 사건) 이후 조선왕조실록에서도 기록이 사라져 그 이야기에 대해 궁금했었다”고 관심을 표했다.
문 대통령은 허진호 감독에게 감사를 전하며 “영화 ‘호우시절’은 지난 중국 방문 시 시진핑 국가주석, 리커창 총리와 회담할 때 대화의 소재이기도 했다”면서 “한중 양국 간 우호에도 도움 되는 얘기를 나눴다”고 밝혔다.
영화 ‘호우시절’은 허 감독이 2009년에 만든 한중 합작영화다. ‘좋은 비는 때를 알고 내린다’는 뜻으로 당나라 시인 두보의 시 ‘춘야희우’의 첫 구절이다.
문 대통령은 또 환담에서 조선시대의 기상학·천문학 수준에 관심을 표했고, 김종석 기상청장은 측우기가 세계 최초였다는 역사기록이 있다고 답했다.
문 대통령은 2017년 10월 부산국제영화제에서 영화 ‘미씽, 사라진 여자’를 관람한 데 이어 2018년 1월 ‘1987’, 작년 6월 ‘기생충’을 각각 관람한 바 있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