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리 람 홍콩 행정장관이 2047년 만료 예정인 홍콩의 자치권이 그 이후에도 유지될 수 있다고 16일 밝혔다. 다만 ‘일국양제’ 원칙을 충실하게 지켜야 한다는 단서를 달았다.
람 장관은 이날 홍콩 입법원에 출석해 “우리가 일국양제 원칙을 충실히 따르기만 한다면 일국양제 제도는 2047년 이후에도 유지될 것”이라며 “어떤 변화도 없을 것으로 생각할 충분한 근거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일국양제 제도가 원만하게 이행될 수 있도록 우리는 일국양제 원칙을 지지해야만 한다”고 덧붙였다.
람 장관의 이 같은 발언은 본국에 의한 통제가 강화될 것이라는 홍콩 시민들의 불안을 진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홍콩에서는 지난해 6월 시작된 ‘범죄인 인도법안’(송환법) 반대 시위가 8개월째 이어지고 있다.
1국가 2체제를 뜻하는 일국양제(一國兩制)는 중국이라는 하나의 국가 안에 사회주의와 자본주의라는 서로 다른 두 체제를 공존시킨다는 의미다. 1980년대 초반 덩샤오핑 당시 중국공산당 주석이 영국 마거릿 대처 총리와 홍콩 반환을 논의하면서 제안했다. 홍콩은 1997년 반환 이후 2047년까지 영국 식민지로서 누렸던 정치적 자유와 자본주의 경제를 유지하는 특별 지위를 허용받았다.
람 장관은 이미 한 차례 홍콩 시민들에게 일국양제의 중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 송환법 시위가 한창이던 9월, 반중국 여론이 확산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였다. 당시 그는 “홍콩 청년들은 일국양제의 중요성을 모른다”며 “홍콩의 미래는 일국양제 하에서 중국 본토의 발전 추세와 융합하는 데 있다”고 호소했다.
한편 뤄후이닝 홍콩 주재 중국연락판공실 주임은 지난 13일 부임 후 첫 기자회견에서부터 일국양제를 언급했다. 그는 “홍콩 동포들은 중국의 개혁개방 및 현대화 건설에 중요한 공헌을 했다. 조국 또한 시종일관 홍콩의 든든한 뒷받침을 해왔다”며 “일국양제는 반드시 안정적으로 나갈 수 있다”고 강조했다.
박실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