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중·고교생 중 1.2%가 학교폭력 피해를 입은 것으로 조사됐다.
교육부는 지난해 9월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 학생 약 13만명을 대상으로 ‘2019년 2차 학교폭력 실태조사’를 실시 한 결과를 15일 밝혔다. 전체 응답자의 1.2%가 학교폭력 피해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 초등학생은 2.1%, 중학생은 0.8%, 고등학생은 0.3%가 학교폭력 피해를 경험한 적 있었다.
지난해 8월 실시한 1차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1.6%, 초등학생 3.6%, 중학생 0.8%, 고등학생 0.4%가 피해를 입었다. 이와 비교하면 피해 응답률이 전반적으로 하락했다. 1차 조사는 초등학교 4학년~고등학교 3학년의 90% 이상이 참여하는 전수조사고, 2차 조사는 약 4%만 뽑아서 조사하는 표본조사다.
2차 조사 결과의 경우 언어폭력(39.0%)이 가장 높았다. 집단 따돌림(19.5%)이 그 뒤를 이었다. 스토킹(10.6%) 피해를 본 적 있다는 응답은 사이버 괴롭힘(8.2%)과 신체 폭행(7.7%)보다 많았다. 1차 때는 사이버 괴롭힘(8.9%), 스토킹(8.7%), 신체 폭행(8.6%) 순이었다. 특히 성추행·성폭행(5.7%) 피해를 봤다는 비율도 1차 조사 때 3.9%보다 증가했다. 고등학생의 경우 학교폭력 피해 응답의 12.5%가 성추행·성폭행이었다. 언어폭력, 집단따돌림에 이어 세 번째다.
피해 학생들은 가족의 도움(33.0%)을 가장 크게 꼽았다. 그 다음으로 선생님의 도움(30.9%), 친구·선배·후배의 도움(17.0%) 등이 자리했다. 다만 상담선생님의 도움(4.8%), 117(경찰청 학교폭력신고센터)신고(4.2%), 경찰 신고(1.9%) 등을 꼽은 학생은 많지 않았다. 아무것도 도움이 되지 않았다(5.6%)는 응답이 이보다 더 많았다.
학교폭력을 가한 적 있다고 답한 학생은 전체 응답자의 0.6%였다. 초등학생의 1.2%, 중학생의 0.5%, 고등학생의 0.1%였다. 1차 조사 결과와 비슷했다. 가해 이유로 ▲장난이나 특별한 이유 없이(33.2%) ▲상대방이 먼저 괴롭혀서(16.5%) ▲오해와 갈등으로(13.4%) 등을 꼽았다. 가해 중단 이유로는 ▲나쁜 것임을 알게 돼서(28.1%) ▲화해해서(23.1%) ▲선생님과 면담(19.0%) ▲학교폭력 예방교육(12.1%) 순으로 나타났다.
학교폭력을 목격한 적 있다는 학생은 전체 응답자의 3.4%였다. 초등학생의 5.1%, 중학생의 2.8%, 고등학생의 1.4%였다. 목격 경험 학생의 68.8%가 피해 학생을 돕거나 신고했다. 도운 방법으로는 ▲피해 학생을 위로했다(34.7%) ▲가해 학생을 말렸다(19.9%) ▲보호자나 선생님, 경찰 등에 신고했다(14.2%) 순이었다.
학생들은 학교폭력을 단순 장난(29.4%)이나 특별한 이유 없는 행위(19.2%) 등으로 받아들이고 있었다. 학교폭력이 피해 학생의 말이나 외모가 이상해서(14.7%) 일어난다고 답한 학생도 있었다.
박민지 기자 pm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