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료원 산하 6개병원에서 시행되고 있는 ‘수술실 CCTV’가 정착단계에 들어섰다. 1년 여 동안 운영해보니 촬영 동의율이 평균 67%에 이르는 등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경기도는 지난 2018년 10월 1일부터 지난해 12월 31일까지 도내 6개 병원의 수술실 CCTV 운영 실적을 결산한 결과, 총 4239건의 수술 가운데 2850건에 대한 촬영이 이뤄지며 촬영동의율 67%를 기록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는 2018년 10월 ‘전국 최초’로 안성병원에 도입된 이후 1달 간 운영 실적인 54%(수술건수 144건·동의건수 78건)보다 13%p 높아진 수치다.
병원별로는 수원병원이 78%(533건 중 416건)로 가장 높았다. 이어 안성병원 71%(1719건 중 1222건), 파주병원 65%(873건 중 567건), 포천병원 65%(544건 중 354건)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진료과별로는 외과(72%), 산부인과(72%), 이비인후과(72%), 정형외과(66%), 치과(66%) 등의 촬영동의률이 60%를 넘었다.
도는 무엇보다 현재까지 CCTV 촬영 영상물 사본을 요청한 사례는 단 1건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의료사고 의심 등 명백한 사유 없이는 영상물이 사용될 일조차 없다는 것이 입증됐다고 말했다.
이는 수술실 CCTV 반대의 주요 명분인 의료계에 대한 불신조장, 환자 프라이버시 침해 등의 부작용이 기우에 불과했다는 반증한 것이라는 것이다.
이에 따라 도는 영업사원 대리수술 등 무면허 의료행위와 수술실에서 벌어질 수 있는 각종 위법행위를 예방하고 환자의 알권리 및 인권 보호하기 위해 수술실 CCTV 확대 노력을 지속적으로 전개한다는 방침이다.
도는 올해 병원급 민간의료기관 10~12곳을 선정, 1개 병원 당 3000만원의 수술실 CCTV 설치비를 지원함으로써 수술실 CCTV가 민간으로 확산할 수 있도록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도 관계자는 “수술실 CCTV는 환자에겐 알권리 충족과 인권을 보호하는 계기를 마련해 주고, 의료인에게는 신뢰관계를 회복시켜 의료사고 분쟁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고 말했다.
도는 지난해말 포천병원과 여주공공산후조리원 신생아실에 CCTV 설치를 완료한 바 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