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도심 속 노른자위 전방·일신방직 부지 올해 본격 개발되나

입력 2020-01-13 10:25 수정 2020-01-13 14:25

광주시가 올해 도심 속 노른자위 땅인 임동 전방㈜·일신방직 광주공장 부지의 본격 개발을 추진한다. 시는 1930년대부터 방직공장 부지로 활용된 해당 부지에 호텔 등 상업시설과 함께 R&D용지 등을 복합적으로 조성하기로 했다.

13일 시에 따르면 일제 강점기 수탈의 아픔과 산업화 시대의 역사를 고스란히 간직한 전방(옛 전남방직)과 일신방직 광주공장에 대한 용도변경과 구체적 개발계획을 업체 측과 협의하고 있다.

공장시설이 낡은 데다 인근 임동 주민들이 먼지와 소음, 석면가루 등에 시달린다며 수년전부터 잇따라 민원을 제기하고 있기 때문이다.

임동 주민들은 지난 2018년 10월 4238명이 서명한 공장 이전 촉구 청원서를 광주시에 접수했다.

일신방직 등은 공장설비를 현대화한 평동산단 공장의 생산능력을 최대한으로 끌어올려 임동 공장을 옮긴다는 방침이다.

두 업체는 이를 위해 공장부지 개발계획안을 지난해 시에 제출하고 평동산단 이전과 기존 부지 개발 등에 따른 공공기여 범위 등을 협상 중이다.

350여명이 일하는 일신방직 광주공장 부지는 13만6200여㎡ 면적으로 하루 56t의 원사 생산능력을 갖추고 있다.

2017년말 가동을 중단한 전방 공장은 15만5600여㎡ 규모로 일부 부지에서 요양병원과 자동차중고매매센터 등이 영업 중이다.

두 업체는 드넓은 공장부지 29만1800여㎡가 현재 공업용지에서 상업·주거용지로 용도변경 되면 주상복합시설 등을 건립하고 땅값 상승분 40%를 공공기여 한다는 사업계획서를 제출했다.

광주시는 올 들어 업체 측이 제출한 사업계획서에 대해 난개발을 막기 위한 보완의견을 제시하는 등 본격 협상에 돌입했다. 도심 속 공장가동에 따른 민원을 줄이기 위해 공장이전을 서두르기로 했다.

하지만 시는 특혜시비를 차단하기 위해 땅값 상승분의 최소한 절반을 공공기여해 도로·공원 등 공공시설을 조성하도록 유도할 방침이다.

근대 산업유산으로 상징성을 가진 화력발전소 등 일부 시설은 보존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시가 앞서 실시한 친일잔재 조사 용역에서는 두 업체 광주공장 부지에 가칭 근대 산업박물관을 건립해야 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일제 수탈의 역사를 후손들이 배우는 공간으로 활용해야 된다는 것이다.

실제 일제 강점기에 세워진 철골구조의 화력발전소와 물 저장시설 등은 6·25한국전쟁의 와중에도 원형을 대부분 유지하고 있다.

시는 획일적 고층아파트보다는 공익성을 담보한 주거·상업·공원·R&D용지·호텔 등이 해당 부지에 골고루 들어서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임동 방직공장은 1935년 일제강점기에 일본 방직업체가 목화와 석탄, 노동력을 착취하기 위해 처음 설립했다. 1945년 해방 이후 정부 소유 전남방직 공사로 출범했다가 1951년 전남방직 주식회사로 민영화됐다.

산업화시대에 여공 등 많은 노동자의 피와 땀이 스민 이 곳은 1961년 전남방직과 일신방직으로 분할됐다.

시 관계자는 “도심 공장을 외곽으로 옮겨야 한다는 데 시민적 공감대가 형성된 것으로 판단한다”며 “공공기여 규모 등을 마무리 한 뒤 효율적 부지개발 방안을 확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