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고위간부 인사를 놓고 추미애 법무부장관을 비롯한 여권과 검찰 사이에 충돌이 벌어진 직후에 압수수색이 이뤄진 것을 두고 일각에서는 검찰이 의도적으로 강공을 벌인 것 아니냐는 의심의 눈총을 보내는 기류도 감지됐다.
서울중앙지검 공공수사2부(김태은 부장검사)는 이날 오전 청와대 여민관실에 검사와 수사관들을 보내 당시 균형발전비서관실이 송철호(71) 현 울산시장의 공공병원 등 공약과 관련해 생산한 자료 등을 확보하기 위한 압수수색을 했다.
압수수색은 청와대 연풍문에서 압수수색 영장과 수사상 필요한 증거 목록을 청와대에 제시한 뒤 자료 임의제출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청와대는 공개적인 대응을 삼가고 있다. 섣부른 언급이 엉뚱한 논란을 확산시킬 수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내부적으로는 불만의 기류가 감지됐다.
정치권 관계자는 “청와대와 여권은 국민들이 검찰 수사를 신뢰하지 못하는데도 검찰이 무리하게 청와대 겨냥 수사를 강행한다고 생각하고 있다”며 “검찰의 압수수색을 향한 시선이 곱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청와대에 대한 검찰의 압수수색은 문재인 정부 출범 후 이번이 세 번째다.
2018년 12월 특별감찰반의 민간인 사찰 의혹 수사과정에서, 그리고 지난해 12월 이른바 ‘감찰무마’ 의혹으로 민정수석실이 압수수색을 받았다.
지난해 12월 압수수색 당시 고민정 청와대 대변인은 서면브리핑에서 “청와대는 절차에 따라 성실히 협조했다”면서도 “비위 혐의가 있는 제보자 김태우의 진술에 의존해 검찰이 국가 중요시설인 청와대를 거듭 압수수색한 것은 유감”이라고 지적했다.
김상기 기자 kitti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