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정인 대통령 통일외교안보특별보좌관이 북미 관계 해법으로 남북 관계 개선을 제시했다. 미국에 대해서는 한국의 역할을 강조하며 ‘아웃소싱’을 주문했다.
문 특보는 9일(현지시간) 뉴욕 코리아소사이어티의 비공개 간담회 후 특파원들과 만나 “북미 대화가 제일 중요하지만, 풀리지 않으면 제2 또는 제3의 방법이 필요하다”면서 “한국이 북한과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북미 교착상태에서는 문재인 대통령이 나서서 남북관계를 개선함으로써 북미 관계를 풀어갈 수 있지 않겠느냐”라며 이같이 말했다.
문 특보는 “북미 관계가 잘 돼야 남북·한미 관계 잘 된다는 ‘북미 우선주의’ 접근으로 했는데 안 풀린 것”이라며 “남북이라도 해서 잘 되게 해야 한다. 중재보다는 촉진자 역할”이라고 덧붙였다.
문 특보는 “우리에게는 사활이 걸린 문제다. 실존적 문제"라며 "미국이 전향적으로 생각해줬으면 좋겠다”고도 말했다.
미국의 기류에 대해선 “부정적이었다. 오랜 지인인 국무부 고위관리가 ‘미국의 외교정책에는 아웃소싱이 없다’고 하더라”면서 “미국도 이젠 생각의 틀을 바꿀 필요가 있다. 미국도 외교정책을 아웃소싱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문 특보는 “미국 행정부가 문 대통령 신년사를 신중히 고려할 필요가 있다”면서 “일부에선 독자행동을 우려하기도 하는데, 유엔 제재 하에서 할 수 있는 것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이란 충돌과 맞물린 호르무즈해협 파병 이슈에 대해선 “미-이란 분쟁과 전투의 형태가 구체화하면 미국이 요청할 텐데 그때 판단해야 한다”면서 “아직 전투가 어디서 어떻게 벌어질지도 모르는데 어디로 보내느냐. 북한의 위협도 있는데 현역군인을 보낼 수는 없다”고 부정적 견해를 밝혔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