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적인 경기침체와 대기업들의 ‘탈 구미’ 현상에 따라 경북 구미시 인구가 2년 만에 42만명선이 붕괴됐다.
구미시는 지난해 말 기준 인구수가 41만9742명으로 2년 만에 42만명선이 무너졌다고 9일 밝혔다.
구미시 인구수는 2010년 40만4920명에서 2012년 41만6949명, 2014년 42만530명으로 증가하다 2016년 41만9891명으로 상승세가 꺾였다.
2017년 다시 반등하면서 42만1799명, 2018년 4월 42만2287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감소세를 보이다가 최근 2년 만에 42만명선이 무너진 것이다.
특히 청년층이 대거 떠나면서 평균 연령은 2015년 34세에서 지난해 말 38.4세로 크게 올라갔고 같은 기간 신생아 수 역시 1500여 명이 줄었다.
이 같은 인구감소는 경기침체 장기화와 대기업들의 ‘탈 구미’ 현상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인구가 가장 많이 감소한 곳은 삼성과 LG계열사 근로자가 많이 거주하는 양포동과 인동동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 기간 동안 양포동은 285명, 인동동은 242명이 각각 줄었다.
관내 27개 읍·면·동 가운데 신규 아파트가 늘어나고 있는 산동면과 도개면을 제외한 대부분 지역에서 인구가 줄어들었다.
지난해 하반기엔 LG디스플레이가 2000여명의 희망퇴직 구조조정을 실시했고 삼성전자도 올해 안으로 생산라인을 외국으로 이전한다는 소문이 무성하다.
지난해 10년간 120조원이 투입되는 ‘SK하이닉스 반도체 특화 클러스터’(산업집적지) 유치에 실패한 것도 악재로 작용했다. 구미시는 지난해 SK하이닉스 반도체 특화 클러스터를 유치하기 위해 총력전을 펼쳤으나 결국 실패했다.
시는 지역균형 발전논리를 앞세워 클러스터 유치에 올인했지만 정부는 경제 논리를 앞세워 경기 용인시 원삼면 일대 448만㎡(약 135만평) 부지로 낙점했다.
시민 김대홍(57)씨는 “오랜 경기침체는 소비 감소와 인구 이탈이라는 악순환을 반복하게 된다”며 “이런 속도로 인구가 줄어들면 올해 안으로 3000명 이상 감소할 것으로 추정된다”며 구미시의 대책마련을 요구했다.
구미경실련도 최근 성명을 내고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고용 불안과 인구감소 위기를 겪는 지방 중소도시의 대안은 압축도시(콤팩트 도시)”라며 “도시 팽창으로 공동화를 가속화시킬 외곽지역 아파트 개발 사업을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구미시 관계자는 “인구 증가를 위해 아동보육, 신혼부부 주거안정, 청년창업, 귀농귀촌 장려 등 다양한 지원방안을 시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구미=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