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입사원 10명 중 9명이 첫 직장을 떠나는 것으로 조사됐다. 퇴사 후 10명 중 3명은 퇴사를 후회했다.
취업포털 인크루트와 바로면접 알바앱 알바콜이 직장인 1831명을 대상으로 첫 직장 재직 여부를 조사한 결과 87.6%가 퇴사했다고 밝혔다.
설문에 참여한 전체 직장인 중 12.4%만이 첫 직장에 재직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03년 인크루트 조사결과 첫 직장 퇴사율은 80.4%로 집계됐었다. 이번에 7.2%포인트가 높아졌다.
기업 규모별 퇴사율은 ‘영세기업’이 90.3%로 가장 높았다. 가장 낮은 퇴사율을 보인 곳은 ‘공공기관’으로 80.9%를 보였다. 이어서 대기업 86.8%, 중견기업 87.2%, 중소기업 88.1% 순으로 낮은 퇴사율을 보였다.
퇴사시기는 ‘1년 미만’ 근무자 비율이 30.6%로 가장 높았다. ‘재직 7~12개월 이내’는 15.2%였으며 ‘6개월 이내’ 퇴사자도 15.4%나 됐다. ‘재직 1년 이상~ 2년 미만’ 퇴사자는 29.7%, ‘3년 미만’ 퇴사자는 15.4%로 집계됐다.
퇴사자 중 2년을 못 채운 비율은 63.0%로 절반을 넘었고, 3년 내 퇴사한 비율도 무려 75.6%에 달했다. 4명 중 3명이 3년 내 퇴사한 것이다.
퇴사 사유는 ‘대인관계 스트레스’(15.8%)가 1위로 꼽혔다. 이후 ‘업무 불만’(15.6%) ‘연봉 불만’(14.6%) 등이 뒤따랐다.
기업 규모별로 퇴사 사유에 차이를 보였다. 대기업의 퇴사 사유 1위는 ‘업무 불만족’(20.3%)이 가장 컸다. 중견기업은 ‘대인관계 스트레스’(18.3%), 중소기업은 ‘연봉 불만족’(16.8%)으로 각각 집계됐다.
또한 퇴사 이후 28.5%는 첫 직장 퇴사에 대해 후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퇴사에 대해 자체평가 한 결과 전체 퇴사자의 28.5%는 첫 직장 퇴사에 대해 후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가운데 13.6%는 재입사를 희망했는데 실제로 재입사한 비율도 4.3%로 확인됐다. 퇴사에 대해 후회하는 비율은 중소기업(23.6%)보다 대기업(43.5%)이 2배가량 높았다.
끝으로 첫 직장에 여전히 재직 중인 직장인에게 재직 이유를 묻자 ‘이직하려면 버텨야 해서’(37.1%)가 압도적으로 1위에 올랐다. 이직을 하기위해 재직하고 있다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펼쳐졌다.
그 외 재직 이유는 ‘대인관계가 원만한 편’(9.5%), ‘출퇴근이 쉽다’(8.6%), ‘연봉 만족’(6.3%), ‘업무 만족’(5.4%) 순이었다.
최희수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