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도 이런 군수가… 직원들 휴대전화 검사, 안 내니 섬으로 발령

입력 2020-01-08 17:00
전남 고흥군청과 송귀군 고흥군수(오른쪽).

지난해 9월 송귀근 전남 고흥군수는 군청 내부 회의에서 “촛불집회 나온 사람들은 아무 내용도 모르고 따라 한다”고 얘기했다. 이 발언이 외부로 공개돼 비판에 휩싸이자 송 군수는 사과문까지 냈다. 그런데 최근 군수의 이 발언을 녹취해 외부로 유출한 것으로 의심받는 군청 직원이 섬으로 전보돼 보복성 인사라는 논란이 제기됐다.

8일 고흥군 공무원 A씨는 최근 신안군 홍도 관리소 파견근무자로 발령이 났다며 “직권남용과 직장 내 괴롭힘, 인권모독, 공갈 협박 등을 당해도 거대한 조직의 힘에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밖에 없었다”고 주장했다. A씨는 또 “짓밟히고 있는 인권유린의 상태가 하루속히 마감될 수 있도록 국민권익위원회에 탄원서를 제출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송 군수는 검찰개혁을 촉구하는 서울 서초동 촛불집회 참석자들을 향해 “촛불집회에 나온 사람들은 일부를 빼고 나머지 국민들은 아무런 생각 없이 나온다”고 폄하하는 발언을 했다.

송 군수의 이날 발언은 군청 직원들에게 생중계되는 회의 중 나왔다. 이 때문에 많은 직원들이 이 발언을 들었다. 이날 회의 영상녹음본이 외부로 유출되면서 송 군수의 발언이 알려지게 됐다. 논란이 커지자 송 군수는 “촛불집회의 진정성을 깎아내리려는 의도는 전혀 없었다”며 “부주의하고 부적절한 표현을 했다”고 사과했다.

하지만 군수의 사과와 달리 군청에서는 녹음본을 유출한 직원에 대한 색출작업이 시작됐다. 고흥군은 유출이 의심되는 부서에 경위서 제출을 지시했다. 조사는 한 달여간 진행됐으며 직원들은 휴대폰 제출을 강요당하기도 했다. 직원 대다수는 인사상 불이익을 우려해 휴대전화를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고흥군은 포렌식 업체 전문가를 불러 직원들이 제출한 휴대폰을 검사했다. 사생활 유출을 주장하며 휴대폰을 끝까지 제출하지 않은 A씨는 녹취자로 몰렸다. 그리고 지난 7일 신안군 홍도 관리소 파견근무자로 발령이 났다.

고흥군 관계자는 “군수 지시로 녹취자를 색출했던 것은 아니고 군정혁신단의 지침이 있었다”며 “군수의 목소리를 녹취해 외부로 알린 행위는 품위유지 의무 위반에 해당된다”고 해명했다. 고흥군 인사담당자도 “신안군과 1대1 파견근무를 한 것으로 보복성 인사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최희수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