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부터 시작된 홍콩 민주화 시위가 장기화되면서 홍콩의 춘제(春節·중국의 설) 퍼레이드가 취소됐다.
지난해 6월 초 ‘범죄인 인도 법안’(송환법) 반대 시위가 올해까지 이어지면서 수많은 관광객을 끌어들이는 춘제 퍼레이드가 24년 만에 취소됐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홍콩관광청은 매년 설 연휴 기간에 홍콩 최대 관광지인 침사추이 지역에서 개최하던 춘제 야간 퍼레이드를 하지 않겠다고 8일 발표했다. 대신 오는 25일부터 28일까지 웨스트카오룽 문화지구에서 세계 26개 팀이 참가하는 카니발을 진행한다고 전했다.
지난 1996년 시작된 후 매년 열리던 춘제 퍼레이드가 취소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춘제 퍼레이드가 열렸던 침사추이 지역이 지난해 말부터 시위의 중심지로 떠오르면서 대규모 시위에 대한 부담감 때문으로 추측된다. 홍콩 관광청은 “새로운 실험을 시도하기 위해서”라고 해명했다.
앞서 12월 31일 진행하는 새해맞이 카운트다운 불꽃놀이 축제는 인파가 한꺼번에 거리로 나올 경우 대규모 시위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경찰의 반대로 취소됐다. 홍콩 새해맞이 불꽃 축제가 취소된 것은 10년 만에 처음이다.
지난해 10월 1일 국경절 밤에 열릴 예정이던 불꽃놀이 축제도 시위에 대한 우려로 취소됐다. 홍콩 정부가 정치적 이유로 국경절 불꽃놀이를 취소한 것은 ‘우산 혁명’이 벌어졌던 지난 2014년 이후 5년 만이다.
이외에도 지난해 대형 축제들은 잇따라 취소됐다. 국제 사이클 경기 대회 ‘사이클로톤’, 세계적 와인 축제 ‘와인앤다인’(Wine & Dine), 음악 예술 축제 ‘클락켄플랍’(Clockenflap)등 각종 축제들이 열리지 못했다.
홍콩 시위가 장기화하는 데다 대형 행사가 잇따라 취소되면서 홍콩을 찾는 관광객은 급감하고 있다. 지난해 11월 홍콩을 방문한 관광객 수 265만 명으로 전년 같은 달과 비교해 56%나 급감했다. 이는 2003년 4월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대유행 이후 16년 만에 최악으로 평가되고 있다.
최희수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