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이 미국에 대한 보복으로 이라크 내 미군 기지를 공습하면서 이라크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이 초긴장 상태다.
다행히 아직까지 피해는 없지만 상황이 악화할 경우 안전 및 추가 수주 등에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우려된다.
8일 정부와 건설업계에 따르면 이라크에는 현대건설, 한화건설, 대우건설 등 14개 건설사가 진출해 있으며, 1381명의 근로자가 일하고 있다.
현대건설과 GS건설, SK건설 등이 공동 시공 중인 카르빌라 정유공장 현장에 660여명이 일하고 있고 한화건설의 비스마야 신도시 건설 현장에는 390여명이 근무 중이다.
이들 건설현장은 공습 지점과 떨어져 있어 현장 피해는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건설사들은 현지 비상대책반을 운영하면서 추가 공습 등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한화건설 관계자는 “외교부 지침대로 임직원들의 출장 부임, 휴가 복귀 등 이라크 입국을 중단했고, 현장도 외부 이동을 제한한 상태”라며 “현재 이란의 타깃인 미국 대사관 및 미군부대와 공사 현장까지와 다소 떨어져 있어서 직접적 위험은 없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현대건설 관계자도 “건설 현장과 공습지역이 상당히 떨어져 있어 큰 문제는 없다”며 “현재 사내 비상대책반을 통해 상황을 지켜보며 대응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란에는 현재 국내 건설 현장이 없다.
건설사들은 이번 사태가 가뜩이나 좋지 않은 해외건설 수주에 악재로 작용하는 게 아니냐며 우려하고 있다.
해외건설협회와 건설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해외건설 수주액은 210억 달러 수준에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지난 2018년 해외건설 수주액 321억원은 물론 2016년 282억 달러, 2017년 290억 달러보다도 낮은 2006년(164억 달러) 이후 13년 만의 최저치다.
이런 가운데 중동발 악재가 터질 경우 올해 해외 수주도 회복 불가능한 상황이 될 수 있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