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이란 사이에 전운이 감도는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리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참석하려던 이란 외무장관의 비자를 거부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연설을 막기 위한 조치로 보인다.
6일(현지시간) 미 외교전문 매체 포린폴리시(FP) 등에 따르면 모하마드 자바드 자리프 이란 외무장관은 오는 9일 유엔 안보리 회의에 참석할 예정이었다. 자리프 장관은 최근 미국의 공습으로 가셈 솔레이마니 쿠드스 사령관이 폭사한 이후 처음으로 유엔 안보리에서 자국의 입장을 전 세계에 밝힐 것으로 예상됐다.
자리프 장관은 수주 전 유엔 헌장의 중요성에 대한 토론을 신청했다. 이란 정부는 6일까지 미국의 비자 발급을 기다렸지만 트럼프 행정부 당국자가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에게 전화를 걸어 자리프 장관 입국을 불허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아려졌다.
FP는 미국 행정부의 이번 비자 거부가 유엔 업무로 미국을 방문하는 외국 외교 관리의 입국을 허용하도록 한 1947년 유엔본부 합의를 위반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유엔본부 합의는 미국 연방정부, 주정부 등이 유엔 구성원 및 언론 등의 이동을 막지 못하도록 한다.
미국은 앞서 지난해 9월 사우디아라비아 석유시설 드론·미사일 공격 사건 이후에도 하산 로하니 이란 대통령과 자리프 장관에 대한 비자 발급을 미뤘던 전력이 있다.
당시 미 행정부는 결국 로하니 대통령과 자리프 장관에 대한 유엔총회 참석용 비자를 허가했지만, 이란 대표단 일부 인사에 대한 비자 발급은 거절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거셈 솔레이마니 이란 사령관 살해를 놓고 연일 미국을 비판하고 있는 중국은 미국의 이번 비자 거부에 대해 비판했다. 겅솽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7일 정례브리핑에서 “유엔 회의에 참석하는 각국 대표에게 비자를 제공하는 것은 미국이 책임져야 할 국제 의무”라면서 미국이 비자를 발급해 의무를 다하라고 요구했다. 이어 “미국은 무력을 남용하지 말고 관련국들은 자제해야 한다”면서 “중국은 이번 사태에 관련해 러시아를 비롯한 안보리 회원국들과 밀접한 소통을 유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장지영 기자 jy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