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칭)가평군 통합 범군민 비상대책위가 환경악법 개선 및 제2경춘국도 가평군 노선(안)을 관철하기 위한 총 궐기대회를 개최한다.
경기도 가평군은 6개 읍면 전·현직 사회기관단체장 등 100여명으로 구성된 범대위가 오는 17일 오후 2시 가평문화예술회관에서 가평군민 10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창립 기념식 및 총 궐기대회를 개최할 예정이라고 7일 밝혔다.
앞서 범대위는 지난달 27일 범군민 비상대책위원회 창립 발기인대회를 갖고 총 궐기대회 준비를 마련해 왔으며, 이달 6~8일까지 3일간 읍면 순회 설명회를 통해 주민 인식 확산과 결집을 도모할 수 있는 통합협의체 창립에 만전을 기울여 나간다는 계획이다.
1~4부로 진행되는 행사는 1부 임시의장 선출 등 창립총회 회무심의에 이어 2부 창립선언문 낭독 등 창립기념식이 이어진다. 또 3부에서는 중앙정부 팔당수계 7계 시·군 및 유역관리 협력관계 파괴에 대한 팔당수계 성명서 발표와 제2경춘국도 중앙정부 국토부(안) 반대 건의문 낭독 등 환경악법 및 제2경춘국도 가평군(안)을 위한 군민 성토대회가 열린다. 이어 4부에서는 참석자 전원이 문화예술회관을 출발해 가평읍 시장떡방앗간~사거리~우체국~군청(앞) 집결 건의문 낭독~공설운동장 입구~문화예술회관 집결 건의문 낭독 등 6만4000여 군민결집 시가행진이 펼쳐진다.
제2경춘국도 국토부(안) 반대 건의문 낭독에서는 가평군 건의노선(안)의 총 사업비가 9951억원으로 기획재정부가 승인된 사업비 1조845억원보다 약 894억원 절감되는 효과를 토로한다.
특히 기존 노선의 80%이상이 가평군을 관통함에 따라 그간 국가건설 도로망에서 철저하게 배제된 가평군민의 생존권과 기존 상권을 보호하고 국토균형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검토방안 등 가평군민의 협조 없이 제2경춘국도가 완성될 수 없음을 강력히 성토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지난 1974년 팔당댐 완공이래 수많은 규제가 현재까지 중복 적용되면서 지역주민의 삶은 점점 피폐화 되고 있다며 상수원 보호구역 특별대책지역 개발제한지역 및 수변구역지정 등을 현실에 맞게 개정하고 주민지원사업도 현실에 맞게 적극적으로 확대해 줄 것으로 촉구할 예정이다.
군 관계자는 “수도권 이라는 이유로 중첩규제를 받아 지역발전이 둔화되는 실정”이라며 “국토부 제안 노선은 가평경제를 침체시켜 주민들에게 큰 상실감을 줄 것”이라고 밝혔다.
가평군은 지난해 4월 주민설명회에서 가평읍으로 우회하는 노선안을 제시한 뒤 각계의견을 수렴, 같은 해 12월 9일 군의회와 협의해 자체 노선안을 최종적으로 결정했다.
최종 노선안은 기존 남양주시 금남 나들목~삼회리 구간만을 동의하고 노선을 바꿔서 청평~현리로 연결되는 하천리(곰탕 집 부근)~호명산 입구(상천 휴게소 부근)~상색~두밀리~경반리~마장리~보납산 터널-줄기리(계곡리)~도계지점까지 연결하는 것이다.
서울과 춘천을 연결하는 광역교통망 구축을 위한 제2경춘국도는 모두 국고로 조성된다. 남양주시 화도읍 금남리부터 춘천시 서면 당림리까지 총 32.9㎞ 4차로 간선도로를 구축하는 사업으로 지난해 초 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대상에 포함돼 2022년 착공을 목표로 속도를 내고 있다.
가평=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