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은 가까운 이웃”이라는 文과 ‘韓’ 한 글자 언급한 아베

입력 2020-01-07 16:14
신년을 맞아 새해 대국민 메시지를 전하고 있는 문재인 대통령(왼쪽)과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과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의 새해 대국민 메시지에서 양국 정상의 극명한 차이가 드러났다. ‘일본은 가장 가까운 이웃’이라며 한일 관계 관련 현안에 상당한 시간을 할애한 문 대통령과 달리 아베 총리는 한미일을 언급하며 말한 ‘한’이 한국과 관련된 유일한 말이었다.

문 대통령은 7일 신년사에서 한일 간 갈등 현안과 관계 개선을 위한 기대를 함께 표명했다. 그는 “일본은 가장 가까운 이웃”이라 규정하며 “양국 간 협력관계를 한층 미래지향적으로 진화시켜가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또 “일본이 수출규제 조치를 철회한다면 양국 관계가 더욱 빠르게 발전해갈 수 있을 것”이라며 일본과의 시급한 당면 현안을 거론하고 해결 방안도 함께 제시했다.

양국 관계를 직접 거론하지는 않았지만 일본의 수출 규제 조치에 대한 한국 정부, 기업, 노동계, 국민의 대응을 언급하기도 하는 등 문 대통령은 일본 관련 주제에 상당한 시간을 할애했다.

반면 아베 총리는 6일 회견에서 안보 정책과 관련해 한미일 3국의 협력을 언급할 때를 제외하곤 한국을 한 번도 언급하지 않았다. 그는 “동아시아의 안전 보장 환경이 전에 없이 엄중한 상황에서 일미, 일미한의 긴밀한 협력은 물론 러시아나 중국과의 협력관계를 쌓아가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말하며 ‘한’(韓)을 거론한 게 전부였다.

이와 달리 북한을 언급하면서는 “평양 선언에 토대를 두고 여러 문제를 해결해 불행한 과거를 청산하고 국교를 정상화한다는 방침도 흔들리지 않는다”며 “가장 중요한 납치 문제의 조기 해결을 위해 김정은 위원장과 조건 없이 직접 마주 대할 생각”이라고 적극적인 의사를 표명해 대비를 이뤘다.

아베 총리는 올해뿐 아니라 지난해 연두(年頭) 기자회견에서도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교섭의 협상 참가국으로 한국을 열거한 것 외에는 따로 한국과 관련한 언급을 하지 않았다. 다만 아베 총리는 이달 정기 국회 개원을 계기로 시정연설을 할 때 외교 정책을 자세히 설명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이때 한일 관계에 대해 어떤 의견을 표명할지 이목이 쏠린다.

정진영 기자 yo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