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가 대구 인공수정란과 자어 등을 남해안 연안에 방류, 어자원 조성에 나선다.
경남도는 올해 초 도내 5개 시·군(창원, 통영, 거제, 고성, 남해)에서 겨울철 진객이라 불리는 대구의 자원조성을 위해 인공수정란 31억 알과 자어 1950만 마리를 방류할 계획이라고 7일 밝혔다.
냉수 어종인 대구는 산란기(12월~다음해 2월)를 맞아 12월부터 진해만으로 돌아오고 있으며, 최근 진해만에서 하루 평균 2000여마리가 어획, 침체된 지역 수산업이 활력을 되찾고 어업인에게 중요한 소득원이 되고 있다.
대구는 한때, 지나친 남획과 서식 환경의 변화로 1마리 값이 쌀 한 가마니를 호가하는 등 ‘바다의 귀족’으로 불리기도 했다.
이에 경남도가 꾸준한 방류사업으로 어획량이 2003년부터 지속 증가해 최근 2014년부터 2019년까지 연평균 22만 마리가 잡혀 동절기 한철 평균 48억원의 소득을 올리고 있다.
그동안 도는 대구 자원회복을 위해 1981년부터 2019년까지 대구 수정란 857억 알을 방류했으며, 2009년부터는 도 수산자원연구소 등에서 직접 자어를 생산해 부화자어 2억 1500만 마리를 방류했다.
김춘근 도 해양수산국장은 “경남도의 수산종자 방류사업 효과 조사결과 대구 방류사업은 경제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 앞으로도 대구의 지속적인 자원회복과 어업소득 창출을 위해 대구 수정란 및 자어 방류 사업을 계속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창원=이영재 기자 yj311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