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일본 변호사들이 징용 피해자를 지원하는 방안을 내놓았지만 일본 정부 대변인인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은 “전혀 흥미가 없다”고 답했다.
스가 장관은 6일 오후 위성방송 BS후지의 한 프로그램에 출연해 이같이 말했다. 이날 사회자가 양국 변호사의 제안에 대한 의견을 묻자 그는 징용 문제는 1965년 한일 청구권 협정으로 모두 해결됐다는 기존 주장을 되풀이했다. 양국 변호사가 제안한 방안에는 ‘인권침해 사실 인정·사죄·배상’ 등의 내용이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스가 장관은 “한일 청구권 협정 조약은 각 나라의 입법·행정, 법원을 포함한 사법부도 따르는 것이 원칙”이라며 “우선 그것을 확실히 지키면 좋겠다”고 말했다. 일본 정부가 징용 문제와 관련해 한국에 제안할 것이 있는지 묻자 그는 “없다”고 잘라 말했다.
한국 대법원판결에 따라 압류된 일본 기업의 자산 강제 매각이 조만간 진행될 가능성을 두고는 “용납할 수 없다”고 했다. 강제 매각 대항 조치로는 “관계 기업과 긴밀하게 협력하고 있다”며 “정부로서 확실히 대응하고 싶다”고 말했다. 또 자산을 압류당한 일본 기업이 손해를 입지 않도록 정부로서 배려하고 있는지 묻자 “정부 전체로서, 관계 성청(정부 부처)을 포함해 대응이 가능하도록 대응책을 행하고 있다”고 전했다. 구체적인 대항 조치 내용은 언급하지 않았다.
박민지 기자 pm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