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미애·윤석열 7일 첫 상견례 “협의냐 의견 청취냐”

입력 2020-01-06 17:40 수정 2020-01-06 17:57
추미애 신임 법무부 장관이 3일 오전 정부과천청사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취임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추미애 신임 법무부 장관과 윤석열 검찰총장이 7일 첫 상견례를 갖는다. 추 장관이 임명된 지 5일 만이다. 법무부는 “인사 관련 논의는 예방과 별도로 이뤄진다”고 했지만 이날 만남을 계기로 검찰 고위직 인사의 윤곽이 정해질 거란 관측이 나온다. 두 사람의 회동이 ‘인사 협의’가 될지 단순 ‘의견 청취’가 될지 검찰 안팎의 이목이 집중된 상황이다.

법무부는 7일 오후 4시쯤 법무부 외청장 및 산하기관장들이 신임 장관을 예방할 예정이라고 6일 밝혔다. 검찰청의 수장인 윤 총장도 이날 추 장관을 예방한다. 법무부 관계자는 “장관 취임에 따른 통상적인 예방”이라며 “인사 논의는 별도 자리를 만들어서 진행될 것”이라고 전했다. 구체적 일정은 공개하지 않았지만 사실상 검찰 인사가 임박했음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고위·중간간부급 인사가 단행된 지 불과 5~6개월 만에 다시 인사가 예고되자 검찰 내부는 심란한 분위기다. 지난해 7월 인사이동이 있었던 검찰 간부는 “새 장관의 인사권 행사를 뭐라 말하겠느냐”면서도 “아직 짐도 다 풀지 못했다”고 에둘러 아쉬움을 표했다. 새 보직에 적응해 이제 막 본격적으로 일을 시작할 시기인데, 업무 차질이 불가피하다는 한탄이다. 한 부장검사는 “보통 1년 단위로 업무계획을 짜는데 실무자들이 손발을 맞춘 지 고작 5개월”이라며 “윗선이 누가 될지, 내 자리를 누가 대신할지 모르는 상황이다보니 기획부서는 물론 수사팀도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고 했다.

윤석열 검찰총장(가운데)이 2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정부 신년합동인사회에서 문재인 대통령의 신년사를 들으며 박수치고 있다. 연합뉴스

4월 총선을 앞둔 민감한 시기에 검찰 인사를 단행하는 건 통상적이지 않다는 지적도 나왔다. 한 검사장은 “선거를 앞둔 상황에선 업무 연속성 등을 고려해 되도록 검찰 고위직 인사를 내지 않는다”고 말했다. 후보자의 면면은 물론 해당 지역의 특성과 문제점을 인지하고 있어야 선거 범죄에 대비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선거관리위원회나 경찰, 법원 등 유관기관과의 협력 체계를 구축하는 데에도 상당 시간이 걸린다”고 덧붙였다.

박상기 전 법무부 장관 시절 법무부는 ‘검사인사규정’을 대통령령으로 격상하면서 지방검찰청 차장·부장검사 필수보직기간을 1년으로 정했다. 이는 적어도 1년간은 소신껏 업무를 처리하라는 취지였는데, 추 장관은 이 조항이 강제조항이 아니며 필요시 인사가 가능하다는 취지로 국회에 답변했다.

검찰 내에서는 이 모든 인사 논의가 유재수 전 부시장의 감찰 무마 의혹, 청와대 하명 수사 및 선거개입 사건의 수사가 이뤄지는 가운데 벌어진다는 항변도 흘러나온다. 수사 지휘라인이 인사 대상에 들어간다면 반발이 적지 않을 전망이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