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제2공항, 새해에도 첨예한 갈등 예고

입력 2020-01-06 16:53
지난해 10월 제주도의회 앞에서 '제2공항 강행 저지 비상도민회의'가 기자회견을 열어 제2공항 도민 공론화 특별위원회 구성 결의안 심사를 보류한 제주도의회 운영위원회를 규탄하고 있다.

제주 서귀포시 성산읍 일대에 제2공항을 설치하려는 계획이 올해도 첨예한 대립 양상을 띨 것으로 보인다. 사업 계획을 둘러싼 직·간접 당사자들이 다른 속도, 다른 방향으로 새해 첫 발자국을 뗐다.

제2공항 찬반 대립 폭을 줄이기 위해 지난해 출범한 제주도의회 ‘제2공항 건설갈등 해소를 위한 특별위원회’는 지난 3일 제5차 회의를 열어 ‘제2공항 갈등 원인 분석을 위한 갈등영향분석 용역 추진의 건’을 원안 가결했다. 이는 제2공항이 들어설 서귀포지역은 물론, 도 전체적으로 찬반양론 대립이 심각한 상황에서 갈등 해소를 위한 상황 진단을 선행하자는 취지로, 이달부터 내달 중순까지 50일간 이뤄질 예정이다.

박원철(더불어민주당, 제주시 한림읍) 갈등 해소 특위 위원장은 “원인 파악이 갈등 해소의 첫 단계”라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갈등의 형체를 정확히 알 필요가 있다”고 결정의 배경을 설명했다.

같은 날 제2공항 특위는 새해 제주도와 협업하는 모습을 보이겠다며 ‘제2공항 건설 갈등 해소를 위한 도지사 면담 요청의 건’도 원안 가결했다.

같은 시각, 의회 밖 사정은 달랐다.

원희룡 제주지사는 같은 날 도청 기자실에서 열린 신년 간담회에서 제2공항 공론화에 대한 입장을 묻는 질문에 “다시 원점으로 돌아가 의사를 결정하는 과정은 합리적이지 않고 시간도 부족하다”며 사실상 제2공항 특위 활동에 다른 입장을 내비쳤다.

지난 3일 제2공항 건설사업 소관 부처인 국토교통부도 올해부터 5년간 추진할 ‘제3차 항공정책기본계획(2020~2024)’에 제주 제2공항 추진을 포함해 고시했다. 항공정책기본계획은 항공법에 따라 국토부가 5년마다 수립·시행하는 항공 분야 최상위 계획이다.

계획서에서 국토부는 지난 제2차 사업기간(2016~2019)의 주요 성과로 항공운송산업 체계 개선과 공항 개발을 들고, 제주 제2공항 기본계획 용역 완료를 대표적인 예로 게재했다. 또, 같은 자료에서 제주지역 항공 수요 증가에 대응한 공항 인프라 확충의 필요성을 적시하며, 제주 제2공항은 계획대로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명확히 했다. 새해 시작부터 제주 제2공항 관련 기관들이 각기 다른 행보를 공식화한 셈이다.

이런 가운데 도내외 113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제주 제2공항 강행저지 비상도민회의’는 지난 2일 긴급 논평을 내고 “새해에는 팩트 기반 논쟁을 하겠다”며 기존공항 확장 안의 가능성 유무를 검증하기 위한 국제 전문가 그룹 구성에 대한 답변을 제주도에 공식 요청했다.

제주=문정임 기자 moon112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