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10대들 사이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동영상 공유 앱 ‘틱톡’을 두고 딜레마에 빠졌다.
틱톡은 중국 바이트댄스가 만든 앱으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정보유출을 문제 삼아 틱톡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
하지만 올해 미국 대선에서 10% 이상의 유권자가 될 것으로 예상되는 Z세대(1990년대 중반 이후 출생한 세대)를 잡기 위해선 틱톡을 내버려 둘 수도 없는 상황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틱톡은 정치적 중립을 원하지만 쉽지 않은 한 해가 될 것’이라고 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최근 몇 주 사이 틱톡에 정치 관련 게시물이 급증했으며, 대부분이 트럼프 대통령 재선과 관련된 내용이라는 것이다.
틱톡에서는 최근 트럼프 대통령 재선과 관련한 동영상이 높은 조회 수를 올리고 있다. 지난해 마지막 3주간 틱톡에서 ‘#Trump2020’ 해시태그를 단 게시물의 조회 수는 2억건을 넘었다.
동영상 중에는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을 위대하게”라고 하면서 ‘LGBT(성소수자)를 지지하는가’라는 질문이 뜨는 것이 인기를 끌었다. 동영상에서 ‘레즈비언’, ‘게이’, ‘성전환자’ 등의 말풍선이 나올 때마다 총성이 울리며 ‘자유’, ‘총’, ‘맥주’, ‘트럼프’ 등으로 바뀌는 식이다.
민주당 대선 후보로 거론되는 버니 샌더스를 의미하는 ‘#Bernie2020’도 2400만건 이상 조회됐으나 트럼프에 미치지는 못했다.
그동안 트럼프 정부는 틱톡 사용을 금지해왔다. 모기업인 바이트댄스가 중국 회사여서 각종 정보가 중국 정부에 유출될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미 국방성, 육군, 해군, 해병대 등에 이어 최근에는 공군과 해안경비대도 정부에서 지급한 어떤 기기에서도 틱톡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했다.
하지만 대선에서 승리하기 위해선 틱톡 사용을 고심할 수밖에 없다는 게 문제다. 공화당은 틱톡과 관련한 선거정책에 대해서 함구하고 있다. 민주당은 선거 캠페인에 틱톡을 사용하지 말 것을 권고했고, 선거 캠프 직원들에게도 틱톡을 삭제하라고 지시했다.
최근 올라온 게시물들은 정당에서 한 게 아니라 개인 차원에서 올린 것이다. 하지만 공화당이나 민주당 입장에서는 활용 여부에 따라 유리할 수도, 불리할 수도 있는 미디어를 마냥 방치할 수 없다는 게 딜레마다.
틱톡은 지난해 정치광고 게재를 금지해왔으나, 사용자가 정치적인 콘텐츠를 올리는 것은 별다른 제재를 하지 않는 상황이다. 정치적인 내용은 장려하지 않지만 금지하지도 않는다는 입장이다.
틱톡은 앱이 정치로 물드는 것을 경계하면서 최근 몇 달간 구글의 모회사인 알파벳과 트위터 등에서 일했던 사람들을 콘텐츠 관리자로 채용했다.
퓨리서치센터는 틱톡이 정보기술(IT)에 익숙한 Z세대를 연결하는 강력한 정치 도구라는 우려가 나온다면서 올해 미국 대선에서 생애 첫 선거에 참여하는 Z세대가 전체 유권자의 10%를 차지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시장 조사업체인 앱애니는 틱톡의 활성 이용자가 2400만명에 달하는데, 이들 중 18~24세 비중이 40%이고 틱톡 이용자의 70%가 유권자라고 밝혔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