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추행 의혹 등 검찰 내부의 여러 비리를 공론화한 임은정 울산지검 부장검사가 인사를 두고 부당한 거래를 제안받은 적 있다고 폭로했다.
임 부장검사는 5일 페이스북에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이 취임 일성으로 법무부 감찰관실에 감찰제도 개선 방안 마련 지시를 한 날, 기자들에게 법무부 연락을 받았다고 답하면서도 칼럼에 소개한 인사 관련한 부당 거래 시도에 대해선 말을 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런 조건을 내건 배후의 검찰 간부들이 누군지 구체적으로 알지 못하지만 그들에 대해 감찰을 요구하고 싶었다”면서도 “(당시에는) 말을 아껴야 할 때라고 생각했다”고 적었다.
임 부장검사가 공유한 자신이 쓴 칼럼에는 조 전 장관 취임 당시에는 밝힐 수 없었던 부당 거래와 관련한 내용이 담겨있다. 칼럼에 따르면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취임 당일 오전, 임 부장검사는 한 통의 전화를 받았다. 그들은 임 부장검사가 요구 조건을 수락해야 인사 발령을 낼 수 있다고 했다. 조건은 ▲SNS 중단 ▲‘정동칼럼’ 연재 중단 ▲서울중앙지검과 서울지방경찰청에 고발장 제출한 전직 검찰총장 등 전·현직 검찰간부들에 대한 직무유기 등 사건 고발 취하였다고 주장했다.
임 부장검사는 “추미애 법무부 장관이 상관과 국민을 속이려는 간부들에게 휘둘리지 말고, 검찰개혁을 뚝심 있게 이끌어 갔으면 하는 마음으로 그날 오전의 일들을 뒤늦게 고백한다”며 “검찰개혁을 향한 노도와 같은 성난 물결소리가 가까워지고 있다. 내게 주어진 소명에 더욱 감사한다”고 썼다.
다음은 임 부장검사 페이스북 글 전문.
조 전 장관이 취임일성으로 법무부 감찰관실에 감찰 제도 개선 방안 마련 지시를 한 날, 기자분들에게 전화가 많이 왔었습니다. 그날 오전 법무부 연락을 받았다고 답을 하긴 했는데... 칼럼에 소개한... 인사 관련한 부당거래 시도에 대해서는 전혀 말을 하지 않았어요.
그런 조건을 내건 배후의 검찰간부들이 누군지 구체적으로 알지 못합니다만, 그들에 대해 감찰을 요구하고 싶었지요. 하지만, 말을 아껴야 할 때라고 생각했습니다.
조 전 장관에게 허락된 시간이 얼마 없을텐데, 검찰개혁을 하는 체라도 할 그 간부들의 협력 없이는 아무 것도 하지 못하고 퇴임할게 뻔히 예상되는 상황이었지요. 그 아수라장에서 조금이라도 검찰이 바뀌기를 바라는 저로서는, 출범하자마자 난파 중인 법무호를 차마 흔들 수 없었으니까요.
이제 추미애 장관의 법무호가 출범했습니다. 좀 뭉뚱그려 말한다면, 제가 보기엔, 검찰 고위간부들은 검찰개혁 ‘시늉도 하기 싫어하는 간부’와 ‘시늉만 하려는 간부’로 나눌 수 있지 않을까... 싶어요.
추 장관이 상관과 국민을 속이려는 간부들에게 휘둘리지 말고, 검찰개혁을 뚝심 있게 이끌어가 주십사... 하는 마음으로 그날 오전의 일들을 뒤늦게 고백합니다.
저는 지금까지처럼 앞으로도 있어야 할 자리에서 해야 할 일을, 해야 할 말을 계속 하겠습니다. 검찰이 진실로 바로 서는 그날까지 많은 관심과 비판 거듭 부탁드립니다. 해야 할 말을 할 수 있어서 저는 행복합니다. 아이 캔 스피크!
ps. 정권 출범 초기에 검찰개혁이 속도 있게 진행되었다면 좋았겠지만, 더 늦지 않았음에 감사하려 합니다. 늘공(직업 공무원)은 관록과 전문지식으로 어공(어쩌다 공무원)을 농락하곤 하지만, 역사의 거대한 흐름을 막을 수는 없지요. 검찰개혁을 향한 노도와 같은 성난 물결소리가 가까워지고 있습니다. 이런 시대에 저에게 주어진 소명에 더욱 감사합니다.
박민지 기자 pm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