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는 이, 눈에는 눈”… 이란, 美에 법적·군사적 보복 경고

입력 2020-01-04 11:32

이란이 미국이 이란 군부 '실세'를 공습으로 제거한 데 대해 법적 대응을 예고했다.
블름버그통신 등 외신을 인용한 연합뉴스 4일 보도에 따르면 모하마드 자바드 자리프 이란 외무장관은 3일(현지시간) 국영 TV와 인터뷰에서 “이란은 솔레이마니(거셈 솔레이마니)의 암살에 대한 미국의 책임을 묻기 위해 국제사회에서 다양한 법적 조처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자리프 장관은 미국의 솔레이마니 이란 혁명수비대 쿠르드군 사령관 제거 공습을 ‘명백한 테러 행위’로 규정하고 미국의 이번 작전이 부분적으로는 개인에 대한 '뿌리 깊은 원한'으로부터 비롯됐으며 탄핵 국면에서 주의를 돌리려 노력하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선거용으로 활용하려는 의도도 있다고 분석했다.
자리프 장관은 솔레이마니 이란 혁명수비대 쿠드스군 사령관은 중동 전역에서 지지를 받았기 때문에 이번 미군 공습이 초래할 결과는 광범위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로이터통신은 이란 국영 IRNA통신을 인용해 이날 이란 정부는 이란 주재 스위스대사를 초치해 미국이 보낸 메시지에 답변을 전달했다고 보도했다. 이란과 외교관계를 맺지 않은 미국은 이에 앞서 스위스대사를 통해 자국의 입장을 이란 정부에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로이터통신은 또 이란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와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에게 서한을 보내 ‘자위권’을 행사를 통보했다고 덧붙였다.
유엔헌장 51조에 따르면 각국은 자위권 행사 차원의 조처를 즉시 안보리에 보고해야 한다.
유엔 주재 이란대사 마지드 타크트 라반치는 서한에서 “(술레이마니 폭사는) 국가 주도 테러의 명백한 사례이며, 특별히 유엔헌장 등 국제법의 기본원리 위반에 해당하는 역겨운 범죄행위”라고 규탄하면서 “(안보리가) 책무를 준수, 위법한 이번 범죄행위를 규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러나, 만일 안보리에서 솔레이마니 암살 규탄이 추진된다하더라도 상임이사국인 미국이 거부권을 행사하면 그것은 무력화된다.
라반치 대사는 CNN과 인터뷰에서도 “솔레이마니 ‘암살’은 이란에 대한 전쟁 개시에 버금가는 새로운 장을 연 것”이라며 “군사행동에 대한 반응은 군사행동”이라고 위협했다.

신태철 기자 tcsh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