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대만을 향해 일국양제(一國兩制·한 국가 두 체제) 입장을 고수했다. 또 홍콩의 번영도 강조하며 올해 핵심 우선 정책에 홍콩의 장기 시위 사태 해결이 포함돼 있음을 시사했다.
1일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人民日報)에 따르면 시진핑 주석은 전날 베이징 정협 강당에서 열린 정협 신년 다과회에서 중요 연설을 통해 “우리는 일국양제와 홍콩인이 홍콩을 다스리고 고도로 자치하는 방침을 관철해 홍콩의 장기적 안정을 수호해야 한다”고 밝혔다.
시진핑 주석은 대만을 정조준해 ‘하나의 중국’ 원칙과 ‘92 공식’(九二共識·1992년 ‘하나의 중국’을 인정하되 각자 명칭을 사용하기로 한 합의)을 언급하면서 “이를 토대로 양안(兩岸·중국과 대만) 관계의 평화적 발전을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시 주석은 이날 정협 다과회 연설에서 샤오캉(小康·모든 국민이 편안하고 풍족한 생활을 누림) 사회 확립을 골자로 하는 ‘4가지 전면’ 전략 등 자신의 사상을 앞세워 중국의 발전을 추진해야 한다는 점도 역설했다. 시 주석은 “전국의 여러 민족 인민들이 중국 공산당의 지도 아래 굳게 뭉쳐 중국 특색 사회주의의 우세함을 보여준다면 샤오캉 사회 실현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차이잉원(蔡英文) 대만 총통은 이날 신년 담화에서 “일국양제를 절대 수용할 수 없다”고 밝혔다.
그는 TV로 생중계된 담화에서 지난해 1월 초 시진핑 주석의 ‘일국양제 대만방안’ 발언에 대해서도 굴복할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밝히면서 “우리는 일국양제를 절대 수용할 수 없다”고 다시 한번 강조했다.
그는 이어 일국양제 하의 최근 홍콩 정세를 예로 들어 “민주주의와 전체주의가 동시에 한 국가에 존재할 수 없다는 것을 여실히 보여주었다”면서 “홍콩의 사례는 우리에게 일국양제가 절대 믿을 수 없다는 것을 알려준다”고 역설했다.
차이 총통의 이런 언급은 재선 고지에 오르기 위해 여당 후보로 출마한 대만 대선(1·11)이 10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대만에서 불신이 깊어지고 있는 ‘시진핑 통일방안’에 분명한 선을 긋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