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남방국가 탄소배출권 사업 확대한다…산림청 ‘REDD+’ 추진

입력 2019-12-31 14:49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산림청이 신남방 지역에서의 탄소배출권 사업을 확대 추진한다.

산림청은 ‘산림부문 REDD+ 중장기 추진계획(2020~2024)’을 시행한다고 31일 밝혔다.

REDD+는 유엔기후변화협약 아래 ‘개발도상국의 산림파괴를 방지해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메커니즘(Reducing Emissions from Deforestation and forest Degradation)’을 뜻한다.

‘숲속의 한반도, 숲속의 지구’라는 비전 아래 추진되는 이번 계획에는 신남방국가, 북한 등 개도국에서의 REDD+ 이행 실적을 국내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에 활용하는 방안이 담겼다.

산림청은 먼저 개발도상국·북한 산림황폐화 방지 REDD+ 사업을 통해 700만㏊(개도국 산림파괴 방지 200만㏊, 북한 산림황폐화 방지 500만㏊)의 산림전용 및 황폐화를 막는다는 계획이다.

개도국을 포함한 북한에서의 REDD+ 사업 추진 시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인 3억1500만t의 약 13%인 4200만t의 탄소배출권을 확보할 수 있을 전망이다.

이를 위해 산림청은 개도국 국가·준국가 REDD+ 이행 및 협상 대응, 북한 REDD+ 기반 구축, REDD+ 거버넌스 구축 등 3대 추진 전략을 마련하고 8개 세부 실행 과제를 추진한다.

8개 세부 실행 과제는 시범사업 마무리, 국가·준국가수준 REDD+ 추진 모델 마련, 차세대 신규사업을 위한 국가 및 지역 발굴, REDD+ 국내외 협상 및 제도화에 대응, 북한 REDD+ 추진 시나리오 제시, 북한 REDD+ 이행 사전준비 및 잠재효과 분석, 전담조직·연구기관 및 전문인력 양성, 민간분야·국제기구 등과의 협업 확대 등이다.

REDD+ 이행 온실가스 감축량 4200만t을 국내 배출권 거래 가격으로 환산할 경우 약 1조1800억 원에 달하는 경제적 효과가 창출되고, 개도국의 빈곤감소·기아퇴치 등이 가능할 것으로 산림청은 내다보고 있다.

특히 북한의 ‘보물산·황금산 정책’과 남한의 ‘숲속의 한반도 만들기’를 연계해 한반도 산림복구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북한 주민들의 삶의 질 개선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안병기 산림청 해외자원담당관은 “REDD+는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에 기여할 수 있는 가장 근본적인 수단”이라며 “신남방 국가 및 북한을 포함한 개발도상 국가와의 기후변화 대응, 산림 협력을 강화하는 등 내실있는 사업으로 신기후체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