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설치법 수정안에 여권 의원으로는 유일하게 기권표를 던진 금태섭 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자유한국당으로 가라”는 식의 악플이 이어지고 있다.
31일 금태섭 의원의 페이스북의 마지막 게시물에는 350개가 넘는 댓글이 달렸다. 28일 한 언론사에 금태섭 의원이 기고한 글을 공유한 것인데, 이 글에는 공수처법 기권 결정을 비판하는 내용의 댓글이 계속됐다.
한 네티즌은 “민주당에서 나가라. 그리고 검찰의 비리 나팔수가 돼라”고 비꼬았고 또 다른 네티즌도 “그냥 편히 자유한국당에 가시는 게 좋을 듯하다. 그쪽과 더 어울리는 거 같다”고 했다.
민주당 권리당원 게시판에는 금태섭 의원의 공천을 배제하라는 항의성 글들이 올라왔다.
검사 출신인 금태섭 의원은 과거 기소권과 수사권을 동시에 갖는 공수처법에 반대 입장을 밝혔다. 지난 10월 국회에서 열린 법제사법위원회의 법무부 국정감사에서는 김오수 차관을 상대로 “수사권과 기소권을 분리하는 게 글로벌 스탠더드”라며 “우리 검찰개혁 방안 역시 특수부 폐지 같이 검찰이 직접 수사권을 내려놔 수사권과 기소권을 분리하는 건데 공수처는 왜 수사권과 기소권을 다 가져야 하느냐”고 물었다.
지난 4월에는 페이스북에 ‘공수처 설치에 반대하는 이유’라는 제목의 글에서 “공수처 설치가 검찰개혁에 도움이 되는 것이 아니라 일종의 장애물로 작용하고 있고 만일 설치에 성공한다면 오히려 개혁과는 반대 방향으로 갈 위험성이 크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민주당 측은 공개적으로 유감을 표명했다. 민주당 홍익표 수석대변인은 공수처법 가결에 대해 국회 정론관에서 현안 브리핑을 마친 후 기자들과 만나 “당론인데 기권(표가) 나온 건 유감”이라며 “그에 대해선 당 지도부에서 검토 후 판단할 것”이라고 했다.
한편, 더불어민주당과 범여권 군소 정당들은 30일 본회의에서 ‘4+1(더불어민주당·바른미래당·정의당·민주평화당+대안신당)’의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설치법 수정안을 재석 177명 가운데 찬성 160명, 반대 14명, 기권 3명으로 가결했다. 금태섭 의원을 제외하고 공수처법에 기권표나 반대표를 던진 16명은 권은희 의원이 발의한 재수정안에 이름을 올린 의원들이 포함된 바른미래당 소속이었다. 자유한국당 의원 전원은 본회의장 항의를 마치고 퇴장했다.
신은정 기자 se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