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불황으로 국내 5인 이상 사업체의 올해 10월∼내년 3월 채용 계획 규모가 전년 동기보다 약 4만명 감소할 것으로 조사됐다.
고용노동부는 이런 내용의 ‘2019년 하반기 직종별 사업체 노동력 조사’ 결과를 30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상용직 5인 이상 사업체의 올해 4분기∼내년 1분기 채용 계획 인원은 25만6000명으로 전년 동기보다 3만9000명(13.1%) 감소했다. 하반기 직종별 사업체 노동력 조사의 채용 계획 인원으로는 2009년(23만6000명) 이후 10년 만에 가장 적었다.
채용 계획 인원이 가장 많은 직종은 ‘운전 및 운송 관련직’(3만9000명)이었다. 이어 ‘경영·회계·사무 관련직’(3만3000명), ‘보건·의료 관련직’(2만4000명), ‘영업 및 판매 관련직’(2만2000명) 등의 순이었다.
경기불황으로 기업의 구인·채용 인원도 줄어들고 있는 추세다. 실제 올해 3분기 5인 이상 사업체의 구인 인원은 67만3000명, 채용 인원은 59만8000명으로 작년 동기보다 각각 7만5000명(10.0%), 6만6000명(9.9%) 감소했다. 구인 인원에 대한 미충원 인원의 비율인 미충원율도 11.1%로, 전년 동기에 비해 0.1%포인트 하락했다.
사업체의 채용 계획 등과는 상관없이 정상적인 경영을 위해 추가 채용해야 할 인력을 가리키는 ‘부족 인원’은 지난 10월 1일 기준 24만1000명으로, 작년 동기보다 2만7000명(10.2%) 감소했다.
한편 고용부가 이날 발표한 ‘2019년 11월 사업체 노동력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10월 상용직 1인 이상 사업체의 노동자 1인당 임금 총액은 332만3000원으로 작년 동월에 비해 15만6000원(4.9%) 증가했다. 상용직 임금은 351만4000원으로 4.5% 증가했고, 임시·일용직 임금도 153만4000원으로 6.1% 늘었다. 노동자 1인당 노동시간은 165.4시간으로 작년 동월보다 1.5시간(0.9%) 줄어들었다.
모규엽 기자 hirte@kmib.co.kr